최근 경제 성장률 전망 논란이 불거지는 가운데 21년 8월 우리나라 온라인쇼핑 동향 데이타가 발표되었습니다.
언론을 통해서 많이 보도되었기 때문에 여기서는 핵신적인 내용과 차트 등을 중심으로 핵신 내용과 시사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해 봤습니다.
Executive Summary
- 8월 소매판매는 42.3조원으로 전년비 7.8% 성장했고, 전분기에 비해서는 2.3% 감소
이는 16년이래 8월 소매판매는 계절적인 요인으로 항상 전분기 비 성장을 거듭해왔지만
이번 8월의 전분기 비 하락은 6년만에 전분기 하락세를 보인 것으로
델타변이 확산으로 인한 경제 위축이 어느 정도 가시화 되었다고 보여짐 - 8월 오프라인 판매는 30.5조원으로 전년비 5.8% 증가했지만
전분기 비 1.9% 감소 - 8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5조 7,690억원으로 전년비 16.8% 증가, 전분기비 2.6% 감소
온라인쇼핑 거래액 증가율은 6개 분기만에 10%대로 하락한 것으로 팬메믹이후 가속화된 온라인쇼핑 수요 증가가 어느정도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 줌 -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전체 소매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7.3%로 전분기 37.4%에 이오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
하지만 온라인쇼핑 중 서비스 거래액을 제외한 상품 거래액 비중은 28%로 이전 최고치 30%에서 다소 하락
이는 근래 상품 거래보다 서비스 거래가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 - 8월 온라인쇼핑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1.5조원으로 전년비 22.8% 증가해 20% 증가율을 유지했지만
다른 지표와 마찬가지로 전분기 비 2.1% 감소해 증가세 둔화를 반영 - 8월 온라인쇼핑 동향 중 상품 거래액은 11.8조원으로 전년비 13.4% 증가, 전분기 비 3.3% 감소해 서비스보다 상품 거래액 증가세 둔화가 더욱 심해지고 있음
- 8월 온라인쇼핑 중 상품별 거래는 음식서비스, 음식료품, 가전전자통신기기, 농축수산물이 판매가 크게 증가
. 음식서비스 44.3% 증가, 음‧식료품 30.8%, 가전‧전자‧통신기기 13.7%, 농축수산물 32.5% 등 증가
. 음식서비스는 코로나19 확산 지속, 도쿄올림픽 영향으로 냉동식품, 배달음식 거래 증가
. 가전전자통신기기, 판매 증가는 신형 스마트폰 출시 및 가전제품의 프리미엄화 영향
. 농축수산물은 추석을 앞두고 지자체 농산물 판매 라이브커머스 행사 등으로 증가
- 한편 8월 온라인쇼핑 중 서비스 거래는 대체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에
여전히 음식 서비스는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며
문화 및 레저 서비스를 중심으로 경제 오픈 관련 서비스 증가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 됨
. 여행 및 교통 서비스 0.8% 증가
. 문화 및 레저 서비스 21.2% 증가
. 음식 서비스 44.3% 증가
. e쿠폰 서비스 23.9%
. 기타 서비스 16.1% 증가
차트로 읽어보는 온라인쇼핑 동향
8월 우리나라 소매판매 및 온라인쇼핑 동향은 전반적으로 셍장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전체 소매판매, 오프라인 판매, 온라인쇼핑 모두 증가세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특히 온라인쇼핑 둔화폭이 훨씬 더 크게 나타나고 있눈 것으로 보입니다.
월별 소매판매 거래액 및 성장률 추이
월별 오프라인 쇼핑 거래액 & 성장률 추이
월별 온라인쇼핑 거래액 & 성장률 추이
2019년 말까지 온라인쇼핑 거래엑 증가율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코로나 팬데믹이후 온라인쇼핑 증가율은은 빠르게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경제 오픈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오프라인 거래가 증가세를 유지하고, 델타변이 확산에 따른 소비 위축 등의 영향으로 온라인쇼핑 증가율도 하락 전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월별 모바일쇼핑 거래액 & 성장률 추이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1.5조원으로 전년비 22.8% 증가해 20% 증가율을 유지했지만다른 지표와 마찬가지로 전분기 비 2.1% 감소해 증가세 둔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판단입니다.
온라인쇼핑 비중 및 온라인쇼핑 상품 거래액 비중 추이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전체 소매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7.3%로 전분기 37.4%에 이어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햇습니다.
온라인쇼핑 중 서비스 거래액을 제외한 온라인쇼핑 상품 거래액 비중은 28%로 이전 최고치 30%에서 다소 하락했는데요. 이는 근래 상품 거래보다 서비스 거래가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 됩니다.
경제 오픈의 영향으로 그동안 부진했건 여행 등 온라인 서비스 거래액이 더욱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온라인쇼핑 중 서비스별 성장률 추이
그동안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던 제반 서비스들의 등가율은 8월 들어 큰 폭으로 둔화되는 모습을 보엿습니다.
수출증가율 둔화와 온라인쇼핑 증가율 둔화, 무엇을 의미할까?
전반적으로 긍적적인면이 많지만, 요즘 세상이 하도 수상하니 온라인쇼핑 증가세 둔화도 예사롭게 보이지 않습니다.
수출증가율 둔화는 향후 기업들 실적 증가 둔화를 시사하고, 빠른 수입액 증가는 원자재 상승을 의미하면서 기업들의 이익 감소를 시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매판매는 여전히 증가세를 보이지만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국내 경기 상승도 어느 정도 주춤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 더우기 온라인쇼핑 증가세의 급격한 둔화는 그동안 팽창을 거듭해온 인터넷 기업들에게는 실적 둔화 등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가 등도 어느 정도 큰 조정이 불가피할 것 같습니다.
이미 오래전에 카카오나 네이버 주가는 규제 이슈로 인해 엄청난 하락을 거듭하고 있는데 이의 배경에는 이러한 성장세 둔화도 한몫하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월별 수출액 및 수출증가율 추이
9월 수출 558.3억 달러로 전년비 16.7% 증가했는데, 이는 시장 기대치 16.3% 또는 16.4%를 소폭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최근 실제 수출증가율과 시장의 예상 수출증가율 추이를 보면 대부분 시장 예상보다는 높은 수출증가율을 보였습니다. 그만큼 한국 수출이 강한 상승세를 타고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수출 증가율이 크게 꺾였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신호를 주고 있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월별 수입액 및 수입 증가율 추이
9월 수입액은 516.2억 달러로 전년비 31%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9월 수입증가율은 시장 예측치 27%를 크게 상회한 것으로 수입 단가 상승, 국내 소비 증가 또는 유가 상승 등 여러가지 요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8월 온라인쇼핑 동향 보고서
참고
온라인쇼핑 트렌드
21년 세계 이커머스 시장 규모, 5조달러로 비중 20%에 육박할 것 by eMarketer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이커머스 변화 및 디지탈 광고 변화 by Evans
[트렌드 차트] 2020년 국가별 이커머스 시장규모 및 이커머스 순위
코로나 시대 온라인쇼핑 배송, 커브사이드 픽업이 각광을 받는 이유
사이버먼데이가 최고 온라인쇼핑 데이가 된 이유와 시사점은?
팬데믹 이후 트렌드, 온라인 브랜드들이 앞다퉈 오프라인 매장을 여는 이유는? 무신사, 구글, 올버즈 등등
한국 온라인쇼핑 관련
11번가를 통한 아마존 한국 진출의 전략적 의의와 성공 가능성을 따져보다
2020년 한국 유통 통계 데이타 정리, 온라인쇼핑 판매 추이 중심
[트렌드 차트] 월별 온라인쇼핑 거래액 추이(매월 업뎃)
분기별 한국 온라인쇼핑 시장규모 및 온라인쇼핑 비중(매분기 업뎃)
미국 온라인쇼핑 관련
분기별 미국 이커머스 시장규모 및 미국 이커머스 비중 추이 – 21년 1분기 34% 성장 및 비중 13.6%
코로나가 관통한 미국 유통 트렌드 4가지와 21년 유통 전망
2020 사이버먼데이 매출 108억 달러 신기록 속 인사이트 2가지
[트렌드 차트] 미국 이커머스 판매 및 비중 전망( ~ 23년)
[트렌드 차트] 20년 미국 이커머스 점유율 전망 by eMarketer
중국 온라인쇼핑 관련
팬데믹 이후를 관통할 21년 중국 이커머스 트렌드 10
[트렌드 차트] 연도별 광군제 매출 및 블랙프라이데이 매출 비교
독자 노선을 걷는 2021년 중국 디지탈 트렌드 5가지
연도별 중국 소매 판매 및 중국 온라인쇼핑 판매 추이( ~ 2020년)
동남아 온라인쇼핑 관련
글로벌 거인들이 눈독들이는 베트남 온라인쇼핑 성장 가능성과 기회
아시아 유통기업 순위 및 아시아 온라인쇼핑 기업 순위 by 유로모니터
[트렌드 차트] 동남아 온라인쇼핑 시장규모 추이 – 싱가폴,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모바일 쇼핑 트렌드 – 2013년에서 2021년까지 전망 by Forrest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