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분기별 구글 실적과 월가 증권사들의 구글 주가 전망을 을 분석했지만, 당기 분석 뿐만이 아니라 이전 분기 분석도 같은 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면 좀더 효율적이라는 지적에 따라 , 이 페이지에서는 분기별 구글 실적, 구글 전망 그리고 월가 증권사들의 구글 주식 추천지수를 비롯한 구글 주가 목표 등을 같이 정리, 업데이트 하고자 합니다.
기본적으로 분기별 구글 실적은 별도 포스팅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그 분석 내용 중 핵심 내용 중심으로 분기마다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구글 주가와 관련된 평가 등을 수시로 업데이트 하고자 합니다.
여기서는 월가 증권사들이 제시하는 구글 주식 추천지수 및 구글 주가 목표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죠.
한국과 마찬가지로 미국 주식에 대한 증권사 리포트들은 끊임없이 나오는데 이를 정리해주는 사이트 데이타를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여 합니다.
알파벳 주가 추이
먼저 구글 주가가 어떻게 움직여 왔는지 간단히 살펴보기 위해 구글 주가 추이 그래프를 살펴보죠.
아래 그래프는 IE와 같은 레거시 브라우저에서는 제대로 보이지 않으니, 크롬과 같은 모던 브라우저를 사용하면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 아직 한국에서는 iE 브라우저 사용자가 어느 정도 되지만 해외에서는 거의 사라진 브라우저로 대부분 업체에서 지원을 중단하고 있습니다.
월가 증권사들의 알파벳 투자의견 및 알파벳 목표주가
월가 투자은행들의 구글 주식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롯한 구글 목표주가등을 업데이트해 간략히 살펴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월가 투자은행들의 목표 주가 추이가 어떻게 흘러왔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시계열로 구글 목표 주가 추이를 차트로 표현해 보았습니다. 목표 주가를 제시한 투자 은행은 이 차트에서는 확인 할 수 없고 아래 투자은행들의 구체적인 목표 주가 테이블을 참고해 주세요.
아래 그래프에서 목표주가가 0으로 표현된 것은 구글 투자의견을 제시한 애널리스트 중에서 구글 목표주가를 제시하지 않았거나 아직 파악하지 못한 경우이니 그래프를 볼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목표주가는 Y축 값만 보시면 됩니다.
월가 투자은행들의 구글 투자 의견 및 구글 목표 주가
월가 투자은행(IB)들이 지금까지 제시한 구글 투자의견 및 구글 목표 주가 제시 이력을 간단히 테이블로 정리해 보았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Date
투자은행
투자 의견
투자 등급
목표가격
01.02.2019
RBC
Buy
01.03.2019
Canaccord Genuity
Buy
01.07.2019
Nomura
Buy
01.14.2019
UBS
Buy
01.23.2019
Deutsche Bank
Buy
1,300
01.28.2019
Credit Suisse
Buy
01.28.2019
Goldman Sachs
Buy
02.01.2019
RBC
Buy
02.05.2019
Barclays
Overweight
1,350
02.05.2019
Credit Suisse
Buy
02.05.2019
Deutsche Bank
Buy
1,380
02.05.2019
JPMorgan
Buy
02.05.2019
Piper Jaffray
Overweight
1,355
02.05.2019
UBS
Buy
02.06.2019
Goldman Sachs
Buy
02.12.2019
Goldman Sachs
Buy
04.11.2019
Cowen
Outperform
1,420
04.23.2019
Goldman Sachs
Buy
04.24.2019
Zacks
Buy
1,399
04.25.2019
Wedbush
Outperform
04.29.2019
Goldman Sachs
Buy
04.30.2019
Barclays
Buy
04.30.2019
Credit Suisse
Buy
04.30.2019
Deutsche Bank
Buy
1,300
04.30.2019
JPMorgan
Buy
04.30.2019
Oppenheimer
Outperform
1,435
04.30.2019
RBC
Buy
04.30.2019
Stifel Nicolaus
Hold
1,287
04.30.2019
UBS
Buy
05.01.2019
Zacks
Hold
05.15.2019
Credit Suisse
Sell
05.15.2019
Deutsche Bank
Buy
1,400
05.15.2019
UBS
Buy
05.29.2019
Pivotal
Hold
07.03.2019
Zacks
Sell
07.12.2019
Goldman Sachs
Buy
07.18.2019
Zacks
Sell
07.23.2019
Goldman Sachs
Buy
07.25.2019
Zacks
Sell
07.26.2019
BOA
Buy
1,450
07.26.2019
Barclays
Buy
07.26.2019
Benchmark
Buy
1,360
07.26.2019
Cowen
Outperform
1,500
07.26.2019
Credit Suisse
Outperform
1,500
07.26.2019
JPMorgan
Buy
07.26.2019
Oppenheimer
Outperform
1,370
07.26.2019
UBS
Buy
07.26.2019
Wedbush
Outperform
1,500
07.31.2019
Zacks
Buy
1,372
08.06.2019
Deutsche Bank
Buy
08.15.2019
Deutsche Bank
Buy
1,475
09.23.2019
RBC
Buy
10.02.2019
Zacks
Hold
10.03.2019
Deutsche Bank
Buy
10.16.2019
Zacks
Buy
1,363
10.18.2019
Goldman Sachs
Buy
10.23.2019
Credit Suisse
Outperform
1,700
10.23.2019
Guggenheim
Buy
1,525
10.24.2019
Zacks
Hold
10.25.2019
JPMorgan
Buy
10.25.2019
Zacks
Buy
1,412
10.28.2019
Goldman Sachs
Buy
10.29.2019
Barclays
Buy
10.29.2019
Deutsche Bank
Buy
1,550
10.29.2019
Jefferies
Buy
10.29.2019
Mizuho
Buy
1,450
10.29.2019
Oppenheimer
Outperform
1,530
10.29.2019
Raymond James
Outperform
1,475
10.29.2019
RBC
Buy
10.29.2019
UBS
Buy
1,460
10.29.2019
William Blair
Outperform
11.04.2019
RBC
Buy
11.04.2019
UBS
Buy
12.03.2019
Piper Jaffray
Overweight
1,500
12.05.2019
Stifel Nicolaus
Buy
12.20.2019
Cleveland
Neutral
01.01.2020
Zacks
Buy
1,496
01.06.2020
Pivotal
Buy
1,650
01.09.2020
Sanford
Outperform
01.17.2020
UBS
Buy
1,675
01.24.2020
KeyCorp
Overweight
1,769
01.27.2020
Mizuho
Buy
1,650
01.28.2020
Jefferies
Buy
02.03.2020
JPMorgan
Buy
1,535
02.04.2020
Credit Suisse
Buy
02.04.2020
Deutsche Bank
Buy
1,700
02.04.2020
DZ Bank
Buy
02.04.2020
Jefferies
Buy
02.04.2020
Nomura
1,680
02.04.2020
Oppenheimer
Outperform
1,620
02.04.2020
Piper
Overweight
1,600
02.04.2020
Pivotal
Buy
1,700
02.04.2020
Raymond James
Outperform
1,580
02.04.2020
RBC
Buy
02.04.2020
UBS
Buy
02.04.2020
Wedbush
Outperform
1,625
02.05.2020
Zacks
Hold
02.06.2020
Cfra
Strong Buy
1,761
02.07.2020
Citigroup
Positive
1,700
03.18.2020
JPMorgan
Overweight
1,340
03.19.2020
Jefferies
Buy
03.26.2020
Goldman Sachs
Buy
03.30.2020
BMO
Outperform
03.30.2020
UBS
Buy
1,530
04.06.2020
Jefferies
Buy
04.08.2020
Zacks
Sell
04.15.2020
Zacks
Hold
04.17.2020
Oppenheimer
Outperform
1,445
04.20.2020
Credit Suisse
Outperform
1,500
04.21.2020
Deutsche Bank
Buy
1,515
04.21.2020
Raymond James
Outperform
1,425
04.28.2020
Jefferies
Buy
04.29.2020
Cowen
Outperform
1,525
04.29.2020
Deutsche Bank
Buy
1,625
04.29.2020
JPMorgan
Overweight
1,505
04.29.2020
Pivotal
Buy
1,575
04.29.2020
Susquehanna
1,800
04.29.2020
Goldman Sachs
Buy
04.29.2020
UBS
Buy
1,600
04.30.2020
Zacks
Sell
05.05.2020
Deutsche Bank
Buy
1,700
07.15.2020
JPMorgan
Overweight
1,700
07.15.2020
Zacks
Hold
07.20.2020
Credit Suisse
Buy
07.21.2020
Mizuho
Buy
1,750
07.22.2020
Goldman Sachs
Buy
07.28.2020
Deutsche Bank
Buy
1,975
07.31.2020
Barclays
Overweight
1,800
07.31.2020
Credit Suisse
Buy
07.31.2020
Oppenheimer
Outperform
1,685
07.31.2020
Pivotal
Buy
1,725
07.31.2020
Raymond James
Outperform
1,700
07.31.2020
Robert W. Baird
1,675
07.31.2020
RBC
Buy
07.31.2020
Stifel Nicolaus
Hold
07.31.2020
Goldman Sachs
Buy
08.03.2020
Barclays
Buy
08.25.2020
UBS
Buy
1,970
09.14.2020
KeyCorp
Overweight
09.29.2020
Jefferies
Buy
10.07.2020
Zacks
Buy
1,664
10.12.2020
Deutsche Bank
Buy
2,020
10.12.2020
Jefferies
Buy
10.12.2020
Zacks
Hold
10.14.2020
Zacks
Buy
1,760
10.20.2020
Credit Suisse
Buy
10.20.2020
Jefferies
Buy
10.21.2020
JPMorgan
Buy
10.22.2020
Goldman Sachs
Buy
10.23.2020
Cleveland
Buy
10.23.2020
Zacks
Buy
1,809
10.26.2020
Zacks
Hold
10.30.2020
Barclays
Overweight
1,900
10.30.2020
Credit Suisse
Outperform
1,950
10.30.2020
Deutsche Bank
Buy
2,250
10.30.2020
JPMorgan
Buy
10.30.2020
Mizuho
Buy
1,810
10.30.2020
Oppenheimer
Buy
1,800
10.30.2020
Raymond James
Outperform
1,800
10.30.2020
Robert W. Baird
1,725
10.30.2020
RBC
Buy
10.30.2020
Goldman Sachs
Buy
10.30.2020
UBS
Buy
10.30.2020
Wedbush
Outperform
1,850
11.02.2020
Canaccord Genuity
Buy
1,900
11.24.2020
Zacks
Hold
12.16.2020
JPMorgan
Buy
12.23.2020
Goldman Sachs
Buy
12.29.2020
Goldman Sachs
Buy
12.30.2020
Zacks
Buy
1,970
01.04.2021
Goldman Sachs
Buy
01.11.2021
Jefferies
Buy
01.12.2021
Cowen
Outperform
2,200
01.22.2021
Credit Suisse
Outperform
2,000
01.25.2021
Canaccord Genuity
Buy
2,250
02.03.2021
Barclays
Overweight
2,500
02.03.2021
Canaccord Genuity
Buy
2,400
02.03.2021
Cowen
Outperform
2,400
02.03.2021
Credit Suisse
Buy
02.03.2021
Deutsche Bank
Buy
2,600
02.03.2021
Jefferies
2,400
02.03.2021
JPMorgan
Buy
2,390
02.03.2021
Mizuho
Buy
2,350
02.03.2021
Morgan Stanley
Overweight
2,200
02.03.2021
Raymond James
Outperform
2,440
02.03.2021
Goldman Sachs
Buy
02.03.2021
Wedbush
Outperform
2,470
02.03.2021
Zacks
Hold
02.04.2021
Barclays
Buy
02.12.2021
Citigroup
Buy
03.31.2021
Wolfe
Outperform
2,450
04.06.2021
Evercore ISI
Outperform
2,525
04.07.2021
Zacks
Buy
2,493
04.13.2021
Evercore ISI
Outperform
2,525
04.14.2021
Wedbush
Outperform
2,953
04.15.2021
Cowen
Outperform
2,600
04.16.2021
Zacks
Hold
04.19.2021
Canaccord Genuity
Buy
2,600
04.19.2021
JPMorgan
Buy
2,575
04.19.2021
Mizuho
Buy
2,600
04.19.2021
Oppenheimer
Outperform
2,350
04.26.2021
Canaccord Genuity
Buy
2,600
04.26.2021
Oppenheimer
Outperform
2,510
04.28.2021
Barclays
Buy
04.28.2021
Cowen
Outperform
2,700
04.28.2021
Credit Suisse
Outperform
2,755
04.28.2021
Deutsche Bank
Buy
3,050
04.28.2021
Jefferies
Buy
04.28.2021
JPMorgan
Buy
04.28.2021
Piper
Overweight
2,635
04.28.2021
Raymond James
Outperform
2,750
04.28.2021
UBS
Buy
04.30.2021
Zacks
Strong Buy
2,794
05.10.2021
Citigroup
Neutral
05.20.2021
Credit Suisse
Buy
06.02.2021
KGI
Outperform
06.29.2021
Jefferies
Buy
2,850
06.29.2021
Zacks
Hold
07.16.2021
Zacks
Buy
2,940
07.23.2021
CS
Outperform
3,350
07.26.2021
Zacks
Hold
07.28.2021
BOA
Buy
3,150
07.28.2021
Barclays
Overweight
3,200
07.28.2021
BMO
Outperform
3,000
07.28.2021
Canaccord Genuity
Buy
3,100
07.28.2021
Cowen
Outperform
3,300
07.28.2021
Guggenheim
Buy
3,140
07.28.2021
Jefferies
Buy
3,150
07.28.2021
JPMorgan
Overweight
3,250
07.28.2021
KeyCorp
Overweight
3,071
07.28.2021
Mizuho
Buy
3,000
07.28.2021
Morgan Stanley
Overweight
3,000
07.28.2021
Needham
Buy
3,200
07.28.2021
Oppenheimer
Outperform
3,000
07.28.2021
Piper
Overweight
3,034
07.28.2021
Raymond James
Outperform
3,200
07.28.2021
Sanford
Outperform
3,200
07.28.2021
Stifel Nicolaus
Buy
3,000
07.28.2021
Susquehanna
Positive
3,600
07.28.2021
Susquehanna
Positive
3,600
07.28.2021
Truist
Buy
3,100
07.28.2021
Truist
Buy
3,100
07.28.2021
Wolfe
Outperform
3,400
08.10.2021
UBS
Buy
3,190
10.01.2021
RBC
Outperform
3,400
10.14.2021
Zacks
Buy
3,089
10.27.2021
Barclays
Barclays, 디지탈 광고 시장은 여전히 강세를 보이나 급상한 구글 주가는 당분간 횡보 가능성
로스 샌들러(Ross Sandler) 바클레이스(Barclays) 구구르 투자등급 Overweight 등급을 유지하지만 구글 목표주가를 3200달러에서 330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샌들러는 투자자에게 보내는 리서치 노트에서 광고시장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의 디지털 광고 업체들과 달리 구글은 iOS 14.5와 공급망 문제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이 애널리스트는 향후 몇 분기동안 "구글은 어려움에 처핳"수 있다고 예상하며, 2021년 구글 주가 상승을 고혀할 때 구그 주가는 당분간 횡보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습니다.
Overweight
3,300
10.27.2021
Bernstein
번스타인(Bernstein), 구글은 디지탈 광고에서 안전한 피난 투자처가 될 수 있을 것
번스타인 애널리스트 마크 슈뮬릭(Mark Shmulik)은 위험도에 노출된 디지털 광고 산업에서 구글은 투자자들의 좋은 안전한 피난처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스냅이 애플 IDFA로 인해 사가지대로 몰리고, 페이스북은 메타버스로 탈출구를 찾고 있는 이 와중에 구글은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서 AI 회사가 되겠다는 5년전 목표를 달성했다는 것을 모두에게 상기시켰다고 이 애널리스트는 주장합니다.
그는 크게 모자라지 않는 매출 성장률, 놀라운 영업이익 성장세, 경제적 정치적 역풍 유발 요인이 적은 구글은 투자자들이 피신처로 부족함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Buy
10.27.2021
CS
크레딕트 스위스, 구글 AI 투자가 애플 개인정보보호 역풍에서 빛을 보고 있다고 평가, 이익 전마치를 상향하면서 목표주가를 3,450$로 상향
크레디트스위스 애널리스트 스티븐 주(Stephen Suisse)는 3분기 구글 실적 결과를 기반으로 구글 알파벳 클래스 A에 대한 투자의견 Outperform 등급을 유지하되 구글 목표주가를 3,400달러에서 3,45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iOS를 운영하고 있는 애플이 여러가지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현 환경에서 구글은 자동화된 광고 입찰 기술의 광범위한 채택을 통해서 애플 개인정보보로 역풍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워지면서 다른 디지탈 광고 기업들과 차별화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월가는 구글이 애플 개인정보보호 역풍을 상대적으로 덜 겪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광고 민주화(?, to democratize advertising)를 위해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를 늘여온 결과가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혜탹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합니다.
스티븐 주(Stephen Suisse)는 전체적으로 2021년 구글 매출 추정치는 크게 바뀌지 않았지만, 2021년 하반기 운영비용과 TAC가 예상보다 낮아져 조정된 EBITDA 추정치는 약 8%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Outperform
3,450
10.27.2021
Evercore ISI
Evercore ISI, 애플 역풍을 강한 내성으로 해소, 구글 목표주가를 3,500달러로 상향
에버코어 ISI(Evercore ISI) 애널리스트 마크 마하니(Mark Mahaney)는 3분기 구글 실적 발표 후 "근본적으로 흠잡을데 없는 실적(fundamentally (close to) flawless)"이라는 제하의 리포트에서 서 3분기 구글 실적을 훔잡을 데 없는 완벽한 분기 실적이라고 평가하며 구글 투자의견 Outperform 등급을 유지하고, 구글 목표주가를 3,160달러에서 3,50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그는 구글 목표주가를 상향하면서 페이스북(FB)과 스냅(SNAP)이 경험했던 애플 개인정보보호 역풍을 알파벳은 "내적으로 강한" 펀더멘탈로 해소했다고 지적했습니다.
Outperform
3,500
10.27.2021
Jefferies
제프리스, 4분기 연말 쇼핑 시즌 광고 증가와 하드웨어 판매로 강세 예상, 3,500$로 목표주가 상향
제프리 애널리스트 브렌트 틸(Brent Thill)은 3분기 구글 실적에 대해 애플 앱 추적 트래킹 강화와 공급망 이슈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구글은 "규모면에서 한층 더 강력한 분기" 실적을 보여 주었다고 평가하고, 구글 투자의견 매수(Buy) 등급을 유지하지만 구글 목표주가를 3,325달러에서 3,50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그는 경쟁 격화에도 불구하고 4분기에는 연말 쇼핑 시즌에 따른 광고 예산 증가와 하드웨어 판매 증가로 강력한 4분기를 맞을 것이라고 예상하며, 4분기 구글 매출, 영업이익률, EPS 등 예상치를 높였습니다.
Buy
3,500
10.27.2021
Mizuho
Mizuho, 구글 전체 매출 매출 증가세 지속 및 이익 증가 예상, 목표주가 3,350$로 상향 조정
Mizuho 애널리스트 제임스 리(James Lee)는 3분기 실적 발표 후 구글 투자의견 매수(Buy) 등급을 유지하고, 구글 목표주가를 3,100달러에서 3,35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웹사이트 광고 매출 증가는 개학 시즌이 강하고 iOS의 영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월가 예상치보다 3포인트 높은 전년비 44% 성장을 기록했다"고 투자자에게 보내는 리서치 노트에서 지적했습니다.
이 애널리스트는 구글 전체 매출 성장세가 호조를 보이고, 구글 이익률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Buy
3,350
10.27.2021
Monness
Monness Crespi, 구글은 디지탈 광고와 틀라우두에서 강점을 가지지만 반독점 조사 리스크는 현존, 구글 목표주가 3,660$로 상향
몬네스 크레스피(Monness Crespi) 애널리스트 브라이언 화이트(Brian White)는 구글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지만 구글 목표주가를 3,500달러에서 3,66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화이트는 투자자에게 보내는 리서치 노트에서 3분기 구글 실적 결과는 선도적인 소셜 미디어 플랫폼들이 경험하는 디지털 광고 함정을 가까스로 피함으로써 "부러움"을 사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 애널리스트는 구글이 디지털 광고에 대한 강한 내재적 경향을 이용하고 클라우드에서 추가적인 모멘텀을 줄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보지만, 디지털 광고 시장은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유지되고 독점금지 조사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Buy
3,660
10.27.2021
Oppenheimer
Oppenheimer, 기대치를 상회한 구글 매출, 4분기 유튜브에서 좋은 성과 예상, 구글 목표주가 3,500$로 상향
오펜하이머(Oppenheimer) 애널리스트 제이슨 헬프스타인(Jason Helfstein) 3분기 구글 실적이 높은 기대를 충족함에 따라 구글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하고, 구글 목표주가를 3,000달러에서 3,50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 애널리스트는 3분기 구글 실적에서 애플(AAPL) IDFA 역풍이 미미하고, 현지 사업 재개장과 여행에서 광고 수요가 증가해 구글 매출이 전년비 41% 증가했으며 이는 월가 예상치를 3% 이상 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구글 클라우드 매출은 월가 예상치에 비해 4% 밑돌았지만 영업손실이 줄어들면서 점차 수익성을 개선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Helfstein은 또한 소셜 미디어에 대한 IDFA 영향과 관련된 불확실성으로 인해 온라인 비디오에 대한 엄청난 수요를 고려할 때 유튜브가 4분기에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지적합니다.
outperform
3,500
10.27.2021
Piper
Piper Sandler, 구글 목표주가 3,034달러에서 3,150달러로 상향 조정
파이퍼 샌들러(Piper Sandler) 애널리스트 토머스 챔피온(Thomas Champion)은 구글 실적이 예상보다 좋다고 평가하며 구글 투자의견 Overweight 등급을 유지하고, 구글 목표주가를 3,034달러에서 3,15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그는 투자자에게 보내는 리서치 노트에서 3분기 구글 실적은 예상 매출보다 5% 높으며, EBITDA는 16%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습니다.
Overweight
3,150
10.27.2021
Raymond James
Raymond James, 검색과 유튜브에서 강한 성장세를 보일 것, 구글 목표주가 3,400달러$로 상향
레이먼드 제임스(Raymond James)애널리스트인 애런 케슬러(Aaron Kessler)는 구글 투자의견 Outperform 등급을 유지하지만, 구글 목표주가를 3,200달러에서 3,40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케슬러는 투자자에게 보내는 리서치 노트에서 비록 세계적으로 회복세가 고르지 못했으나 3분기에는 소비자 온라인 활동의 증가로 이익을 지속했다고 밝히고, 구글 밸류에이션이 여전히 매력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검색과 유튜브에서 탄탄한 장기적 광고 매출 성장과 구글 클라우드 모멘텀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Outperform
3,400
10.27.2021
Stifel Nicolaus
Stifel, 애플 개인정보호강화 역풍은 구글 광고로 몰리는 계기가 될 것, 구글 목표주가 3,200$로 상향
스티펠(Stifel) 애널리스트 스콧 데이빗(Scott Devitt)은 3분기 구글 실적 보고 후 예상 매출과 영업이익이 약 400 베이시스 포이트 높은 어닝 서프라이즈에 대해 구글 투자의견 매수(Buy) 등급을 유지했지만 구글 목표주가를 3,000달러에서 3,20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그는 애플 IDFA 변화와 관련된 역풍이 단기간동안 유튜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며, 유튜브 매출 예상치를 하향 조정했습니다.
데이빗은 소셜 기반 광고 효과를 제한해온 애플 개인정보호 강화 정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글 핵심 광고 상품에 더 많은 광고 수요가 몰릴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Buy
3,200
10.27.2021
Wedbush
웨드부시, 구글은 애플 개인정보호강화의 수혜자로 23년까지 지속 성장 전망, 구글 목표주가를 3,530$로 상향
웨드부시(Wedbush) 애널리스트 마이클 파처(Michael Pachter)는 3분기 구글 실적을 평가하면서 디지탈 광고에서 강력한 성과를 냈으며, 애플 iOS에서 강화된 개인정보보호 정책 즉 앱 추적 투명성 정책의 확실한 수혜자로 증명되었다며 구글 알파벳 투자의견을 Outperform을 유지하지만 구글 목표주가를 3,424달러에서 3,53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 애널리스트는 알파벳이 예상보다 훨씬 좋은 매출과 EBITDA로 3분기 실적 호조를 보였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보고서에서 Pachter는 유투브와 클라우드 실적이 예상에 부합했다고 꼭 찝어 이야기 했으며, 전반적으로 3분기 디지탈 광고가 가장 강력한 성과를 냈으며, 디지탈 광고 중 검색 광고는 모바일 앱 추적과 및 측정 문제에서 비켜나 있기 때문에 애플 개인정보호강화 정책의 수혜자로 등장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 애널리스트는 2022-2023년에도 구글 매출 추정치가 계속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구글 알파벳은 그가 가장 좋아하는 대형주이며 구글 알파벳은 웨드부시의 최고 아이디어 리스트에 올라 있습니다.
Outperform
3,530
10.27.2021
Wells Fargo
웰스파고(Wells Fargo), AI 혁신 및 리테일 위상 확대로 구글 광고의 경쟁력 충분함을 증면, 목표주가 상향
웰스파고(Wells Fargo) 애널리스트 브라이언 피츠제럴드(Brian Fitzgerald)는 3분기 구글 실적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구글 투자의견 Overweight 등급을 유지하지만 구글 목표주가는 3,100달러에서 3,40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그는 주요 경쟁사에 의해 촉발된 업계 및 경영환경 급변하에서, 구글 핵심 검색 광고가 3분기 연속 전년비 성장률이 높아지고, 구글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미미한 영향'을 받으면서도 성장한 유튜브 광고가 늘고 10년이래 가장 강력하게 성장한 네트워크 광고로 구글 광고 비즈니스는 번영하고 있습니다.
그는 투자자들은 구글 광고 비즈니스가 연속성을 가지고 지속 가능한지를 의문시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피트제럴드(Fitzgerald)는 코로나 팬데믹과 iOS ATT가 구글 MUM이나 다른 AI 혁신보다 더 큰 요인이라고 믿지만, 라스트 클릭 마케팅(last-click marketing)의 부활과 옴니채널 소매업에서 구글의 높아진 위상으로 생태계와 소비자 행동에서 구글은 지속되는 변화 속에서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참고로 구글 MUM은 Multitask Unified Model의 약어인데, 75개 이상의 언어로 동시에 학습된 구글 언어모델 입니다. 이 새로운 언어모델으 인공지능을 적용해 텍스트 외에도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인공지능 솔류션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라스트 클릭 마케팅(last-click marketing, 광고나 판매에서 마지막 클릭 단계에 가중치를 두어 평가하는 것 의미, 여러 광고 노출 후 며칠있다 온라인 구매가 일어났다면 온라인 구매 클릭이 일어난 순간에 일정 가중치를 주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Overweight
3,400
10.27.2021
Zacks
Buy
3,089
12.03.2021
UBS
Buy
3,925
01.03.2022
Zacks
Hold
0
01.13.2022
Cowen
N/A
3,500
01.17.2022
Zacks
Buy
3,117
01.19.2022
BOA
N/A
3,470
01.25.2022
Zacks
Hold
0
02.02.2022
Canaccord Genuity
Buy
3,500
02.02.2022
Cowen
Outperform
3,600
02.02.2022
CS
Outperform
3,500
02.02.2022
Jefferies
Buy
3,600
02.02.2022
JPMorgan
Overweight
3,450
02.02.2022
Monness
Buy
3,850
02.02.2022
Raymond James
Outperform
3,630
03.11.2022
Deutsche Bank
Buy
3,150
03.18.2022
Tigress
3,670
04.20.2022
Wedbush
Outperform
04.27.2022
Canaccord Genuity
Buy
3,300
04.27.2022
Deutsche Bank
2,900
04.27.2022
JPMorgan
3,200
04.27.2022
Raymond James
3,180
04.28.2022
Oppenheimer
Outperform
3,290
07.07.2022
Evercore ISI
Outperform
155
07.13.2022
Cowen
Outperform
150
07.13.2022
Cowen
Outperform
150
07.14.2022
Citigroup
Buy
145
07.18.2022
MKM
Buy
140
07.19.2022
CS
143
07.19.2022
Oppenheimer
165
07.21.2022
JPMorgan
140
07.25.2022
Cowen
150
07.25.2022
Cowen
150
07.26.2022
Itau BBA
Market Perform
0
07.27.2022
Guggenheim
Outperform
130
07.27.2022
Piper
Overweight
135
07.27.2022
Susquehanna
150
07.27.2022
Susquehanna
150
07.27.2022
Goldman Sachs
150
09.08.2022
Barclays
150
10.11.2022
CS
Outperform
134
01.09.2023
Jefferies
125
01.11.2023
Cowen
Outperform
125
01.12.2023
Sanford
120
01.12.2023
UBS
115
01.24.2023
Raymond James
Outperform
116
01.25.2023
Credit Suisse
145
01.26.2023
Oppenheimer
Outperform
130
01.31.2023
BofA
Buy
119
02.03.2023
Credit Suisse
136
02.03.2023
Jefferies
125
02.03.2023
JPMorgan
Overweight
118
02.03.2023
Oppenheimer
Outperform
155
02.03.2023
Piper
Overweight
120
02.03.2023
Raymond James
Outperform
119
02.03.2023
Roth
Buy
0
02.03.2023
RBC
130
02.03.2023
Goldman Sachs
128
02.06.2023
Sanford
130
02.06.2023
UBS
120
02.09.2023
JPMorgan
118
04.06.2023
UBS
Buy
123
04.24.2023
Oppenheimer
135
04.26.2023
Deutsche Bank
125
04.26.2023
Raymond James
130
04.26.2023
Baird
123
Date
투자은행
투자 의견
투자 등급
목표가격
구글 주가와 경쟁사 주가 비교 및 주요 지표 비교
구글 주가를 경쟁사들과 비교해보기 위해서 산업 내 경쟁사들의 주가 및 주요 지표들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이 비교 테이블은 IE와 같은 레거시 브라우저에서는 제대로 보이지 않으니, 크롬과 같은 모던 브라우저를 사용하면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 아직 한국에서는 iE 브라우저 사용자가 어느 정도 되지만 해외에서는 거의 사라진 브라우저로 대부분 업체에서 지원을 중단하고 있습니다.
22년 2분기 구글 실적 분석
Executive Summary
먼저 주요 지표의 시장 예측치와 실적을 비교해서 성과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표에서 정리한 것처럼 주당 순이익(EPS)과 매출 등 전체 지표는 전반적으로 시장 기대를 미치지 못햇습니다.
항목
결과
실적
시장 예측 (Refinitiv/StreetAccount)
주당순이익($) (EPS)
시장 예측 하회
$1.21
$1.28
매출($B)
시장 예측 하회
69.69 68.01(전분기) 75.33(전전분기)
69.9 68.11(전분기) 72.17(전전분기)
유튜브광고 매출($B)
시장 예측 하회
7.34 6.87(전분기) 8.63(전전분기)
7.52 7.51(전분기) 8.87(전전분기)
클라우드 매출($B)
시장 예측 하회
6.28 5.82(전분기) 5,54(전전분기)
6.41 5.76(전분기) 5.47(전전분기)
TAC($B) (Traffic acquisition costs)
시장 예측 하회(긍정적)
12.21 11.99(전분기) 13.43(전전분기)
12.41 11.69(전분기) 12.84(전전분기)
매출 696.9억 달러로 전년비 12.6% 증가, 이는 시장 예측 699억 달러를 하회 . 구글 매출 성장률은 1년 전의 62%에서 12.6%로 둔화되었는데, 당시 회사는 팬데믹 이후 영업 재개의 혜택을 받고 있었고 소비자 지출이 증가하고 있었습니다.
구글 광고 매출은 562.9억 달러로 전년동기 570.7억 달러보다 11.6% 증가 . 구글 광고 매출 증가세 둔화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관리학 위해 마케팅 비용을 줄엿기 때문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구글 광고의 핵으로 떠오르고 있는 유튜브 광고 매출 734억 달러로 전년비 4.8% 증가 유튜브 광고 매출은 전년 동기 84% 급증했지만, 이번 분기에는 4.8%로 성장세가 급격히 둔화, 이는 경기 전반적인 광고 지출 광소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구글의 검색 및 기타 매출은 406억9000만 달러로 전년도 358억5000만 달러에서 증가했습니다. 구글의 최고 비즈니스 책임자인 필립 쉰들러(Philipp Schindler)는 이러한 성장이 여행 및 소매 문의에 의해 촉진되었다고 말했습니다. .
구글 클라우드 매출 62.8억 달러로 35.6% 증가, 이는 시장 예측치 64.1억 달러를 소폭 하회 .
구글 신사업이라 할 수 있는 기타 Bets 부문 매출은 1억 9,3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0만 달러 증가했습니다. 분기 동안 16억9000만 달러의 손실을 입었습니다. . 여전히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부문은 가시적인 성과가 나고 있지는 않는 상황
애플 아이폰에서 검색을 가능하게 만드는 등 검색 트래픽을 얻기 위해 지불한 TAC(트래픽 획득 비용)은 122.14억 달러로 시장 예측치 124.1억 달러보다는 소폭 하회
매출총이익은 395억 달러로 전년비 11% 증가 매출총이익률 56.8로 전년동기 57.6%보다 소폭 하락
영업이익 194.5억 달러로 전년비 0.5% 증가 영업이익률 27.9%로 전분기 9.5%보다 하락
Alphabet은 직원 수가 174,014명으로 전년도의 144,056명에서 21%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회사는 지난달 2023년까지 고용 및 투자 속도를 늦출 것이라고 밝혔고 CEO Sundar Pichai는 메모에서 직원들에게 ”우리는 경제적 역풍에 면역이 되지 않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회사는 이러한 도전이 2022년 말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Porat은 통화에서 ”앞으로 작년의 매우 강력한 수익 실적은 올해 남은 기간 동안 광고 수익의 전년 대비 성장률에 부담을 줄 힘든 구성 요소를 계속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Alphabet은 수익 예측을 제공하지 않았지만 애널리스트들은 Refinitiv에 따르면 14% 성장한 2,939억 달러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주가는 올해 가치의 약 4분의 1을 잃었습니다.
구글 실적을 이해하기 위한 주요 지표 차트
아래에서는 위에서 간단히 정리한 매출을 포함한 실적 지표들의 트렌드 차트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구글 실적 트렌드 이해하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분기별 구글 매출 및 매출 성장률 추이
분기별 구글 광고 매출 추이
분기별 유튜브 광고 매출 추이
구글 광고 타입별 매출 증가율 비교
구글 클라우드 매출 추이
분기별 구글 매출총이익률 추이
분기별 구글 영업이익 추이
분기별 구글 순이익 추이
22년 2분기 구글 실적 보고서
21년 4분기 구글 실적 분석
Executive Summary
먼저 주요 지표의 시장 예측치와 실적을 비교해서 성과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표에서 정리한 것처럼 주당 순이익(EPS)과 매출 등 전체 지표는 시장 기대를 크게 뛰어넘었지만 유튜브광고 매출은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구글 클라우드 매출은 시장 기대를 소폭 상회하는 시적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애플 개인정보보호 정책 강화로 촉발된 디지탈광고 매출 감소 우려에 대해서는 여전리 강고한 실적 성장을 보여주면서 시장에서 우려를 불식시키는 모습니다.
그리고 기대를 모았건 구글 클라우드는 이번 분기에는 시장 기대에 부응하는 45% 성장을보이면서 여전한 성장세를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광고나 클라우드 사업 외 자율주행 등 기타 구글 혁신 사업은 매출 감고와 영업이익 둔화를 보이면서 여전히 어려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항목
결과
실적
시장 예측
주당순이익($) (EPS)
시장 예측 상회
30.69
27.34 (Refinitiv)
매출($B)
시장 예측 상회
75.33
72.17 (Refinitiv)
유튜브광고 매출($B)
시장 예측 하회
8.63
8.87 (StreetAccount)
클라우드 매출($B)
시장 예측 하회
5,54
5.47 (StreetAccount)
TAC($B) (Traffic acquisition costs)
시장 예측 상회(긍정적)
13.43
12.84 (StreetAccount)
매출 753.3억 달러로 전년비 32% 증가, 이는 시장 예측 721.7억 달러를 상회 . 전분기 구글 매출 651억 달러보다 무려 15.7% 증가해 성장세가 계속 커지고 있음
구글 광고 매출은 612억 달러로 전년동기 319억 달러보다 32% 증가 . 구글 검색광고는 433억 달러로 전년비 41% 증가해 여전히 높은 성장률 유지(전분기 32% 증가보다 증가율이 커짐) . 구글 광고의 핵으로 떠오르고 있는 유튜브 광고 매출 86억 달러로 전년비 25.3% 증가 유튜브 매출은 시장 예측치 88.7억 달러에는 미치지 못함 . 구글 광고 매출은 소매업 증가세에서 큰 혜택을 입고 있다고 구글 최고 비즈니스 책임자는 밝혔음 . 유튜브는 구글 지표 중 유일하게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한 항목이 되었고, 지난 분기에 이어서 2분기 연속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했음
구글 클라우드 매출 55.4억 달러로 44.6% 증가, 전분기 49.9억 달러에 비해 11% 증가했으며 이는 시장 예측치 54.7억 달러를 상회
구글 신사업이라 할 수 있는 “Other Bets”(자율주행차 사업부 Waymo와 생명과학 사업부 Verily를 포함) 매출 1.8억 달러로 전년비 73% 감소 . 여전히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부문은 가시적인 성과가 나고 있지는 않는 상황
하드웨어, 플레이 스토어, 광고 외 YouTube 수익을 포함한 구글의 기타 부문은 전년도의 66억 7000만 달러에서 증가한 81억 6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 구글 CEO Pichai는 공급망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Pixel 스마트폰의 ”사상 판매 기록”을 보았다고 말했습니다.
애플 아이폰에서 검색을 가능하게 만드는 등 검색 트래픽을 얻기 위해 지불한 TAC(트래픽 획득 비용)은 134억 달러로 시장 예측치 134.4억 달러보다는 소폭 상회
매출총이익은 219억 달러로 전년비 29% 감소 매출총이익률 29%로 전년동기 54%보다는 크게 낮아짐
영업이익 218억 달러로 지난분기에 이어거 2분기 연속 영업이익 2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전년비 약40% 증가 영업이익률 29%로 전분기 32.3%에서 30% 이하로 낮아 짐
순이익 206억 달러, 순이익률 27.4%로 전년비 35% 증가
주당 순이익(EPS) 30.69달러로 시장 예상치 27.34달러를 크게 크게 상회
코로나 팬데믹 이후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경기가 확연한 회복세에 진입하고, 소매판매가 활발해지면서 구글 광고 매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 구글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구글은 알파벳 자회사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알파벳 실적으로 표기해야하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구글을 사용했습니다.
Executive Summary
먼저 주요 지표의 시장 예측치와 실적을 비교해서 성과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표에서 정리한 것처럼 주당 순이익(EPS)과 매출 등 전체 지표는 시장 기대를 크게 뛰어넘었지만 유튜브광고 매출, 구글 클라우드 매출 등은 핵심 사업 성과는 시장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애플 개인정보보호 정책 강화로 촉발된 디지탈광고 매출 감소 시장에서 우려에 대해서는 그닥 큰 영향이 없다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그리고 기대를 모았건 구글 클라우드는 이번 분기에는 44.9% 성장에 그쳐(?) 시장 기대보다는 틀라우드 경쟁이 심할 것이라는 우려를 낳았습니다.
항목
결과
실적
시장 예측
주당순이익($) (EPS)
시장 예측 상회
27.99
23.48
매출($B)
시장 예측 상회
65.12
63.34
유튜브광고 매출($B)
시장 예측 하회
7.20
7.4
클라우드 매출($B)
시장 예측 하회
4.99
5.07
TAC($B) (Traffic acquisition costs)
시장 예측 하회(긍정적)
11.5
11.16
매출 651억 달러로 전년비 41% 증가, 이는 시장 예측 633.4억 달러를 상회 . 전분기 구글 매출 618.8억 달러보다 5.2% 증가해 성장세가 꺽이지 않음을 보여 주었음
구글 광고 매출은 531억 달러로 전년동기 371억 달러보다 43% 증가 . 구글 검색광고는 371억 달러로 전년비 41% 증가해 여전히 높은 성장률 유지 . 구글 광고의 핵으로 떠오르고 있는 유튜브 광고 매출 72억 달러로 전년비 43% 증가 유튜브 매출은 시장 예측치 74억 달러에는 미치지 못함 이러한 유튜브 매출 72억 달러는 넷플릭스 분기 매출 74.8억 달러에 육박하는 수준
구글 클라우드 매출 49.9억 달러로 44.9% 증가 전분기 46.3억 달러에 비해 8% 증가했으나 이는 시장 예측치 50.7억 달러를 하회
구글 신사업이라 할 수 있는 “Other Bets” 매출 18.2억 달러로 전년비 2% 증가 . 영업손실 12.88억 달러로 손실 금액은 더 커져 매출 증가가 크지 않은 가운데 더욱 더 빨리 손실이 커지는 모습 . 여전히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부문은 가시적인 성과가 나고 있지는 않는 상황
애플 아이폰에서 검색을 가능하게 만드는 등 검색 트래픽을 얻기 위해 지불한 TAC(트래픽 획득 비용)은 115억 달러로 전년동기 81.6억 달러에 비해 40% 증가해 광고 매출 증가율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 하지만 시장 예측치 111.6억 달러보다는 소폭 하회
매출총이익은 375억 달러로 전년비 49.5% 증가 매출총이익률 57.6%로 전년동기 54%보다는 크게 올랐고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
영업이익 210억 달러로 처음으로 영업이익 2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전년비 88% 증가 영업이익률 32.3%로 전년동기 24.2%나 전분기 31.3%보다 크폭으로 높아 짐 . 2분기 연속 영업이익률 30%대를 이어감
순이익 189억 달러, 순이익률 29%로 전년비 68% 증가
주당 순이익(EPS) 27.99달러로 23.12달러를 크게 크게 상회
3분기 전망에 대해 최근 코로나 변이 확산으로 3분기 매출 증가세는 주춤할 것으로 보며, 상황 변화가 극심해 장기적인 예측은 어렵다고 밝혔음
몇가지 시사
구글은 올해 초 애플 iOS 14.5부터 본격화된 개인정보보호 강화에 따른 시장 변화를 적절하게 통제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스냅과 페이스북 모두 3분기 실적 발표에서 IOS 앱 추적 트래킹 강화에 따라 매출에 영향을 크게 받아 시장 기대에 못미치는 실적을 공개했습니다.
하지만 구글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디지탈 광고를 핵심 비즈니스를 하는 회사들보다는 양호한 실적을 거두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구글은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시장 기대에 못미쳤던 유튜브 광고는 애플 개인정보 강화 조치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팬데믹 이후에도 꾸준히 증가한 소매 판매에 따라 구글 광고 비즈니스 매출 성장에 큰 기여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21년 2분기 구글 실적 분석
Executive Summary
매출 618.8억 달러로 전년 동기비 62% 증가, 전분기와 비교해도 12% 증가 이는 시장 예측치 516.6억 달러를 크게 상회한 어닝 서프라이즈
구글 광고 매출은 504억 달러로 전년 동기 299억 달러 비 69% 증가, 이러한 광고 성장은 소매업 성장에 따른 광고 수요 증가가 구글 광고 매출 증가에 큰 기여했다고 구글은 분석 . 구글 검색광고는 358억 달러로 전년비 68% 증가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임 . 구글 광고의 핵으로 떠오르고 있는 유튜브 광고 매출 70억 달러로 전년비 84% 증가 유튜브 매출은 시장 예측치 63.7억 달러를 크게 상회 이러한 유튜브 매출 70억 달러는 넷플릭스 분기 매출 73.4억 달러에 육박하는 수준
구글 클라우드 매출 46.3억 달러로 전년비 54% 증가 이는 시장 예측치 44억 달러에 비해 소폭 상회한 수치
구글 신사업이라 할 수 있는 “Other Bets” 부문은 매출은 증가했지만 손실은 더욱 커지면서 어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함 . 매출 1.92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 비 27.24% 증가했지만 . 영업손실 14억 달러, 영업손실율 73%를 기록해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었음 . 여전히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부문은 가시적인 성과가 나고 있지는 않는 상황
애플 아이폰에서 검색을 가능하게 만드는 등 검색 트래픽을 얻기 위해 지불한 TAC(트래픽 획득 비용)은 109.3억 달러로 시장 예측치 97.4억 달러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매출총이익은 357억 달러, 매출총이익율 81%로 전년비
영업이익194억 달러, 영업이익율 31.3%로 전년비 203% 증가 . 처음으로 영업이익률 30%대를 돌파 함
순이익 185억 달러, 순이익율 29.9%로 전년 비 166% 증가
주당 순이익(EPS) 27.26 달러로 시장 예측치 19.34달러를 크게 상회
3분기 전망에 대해 최근 코로나 변이 확산으로 3분기 매출 증가세는 주춤할 것으로 보며, 상황 변화가 극심해 장기적인 예측은 어렵다고 밝혔음
2분기 구글 매출 619억 달러, 62% 증가
21년 2분기 구글 매출은 618.8억 달러로 전년동기비 62% 증가했고, 전분기와 비교해고 12% 증가했습니다.
이는 시장 예측치 51.6억 달러를 크게 상회한 어닝 서프라이즈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는 광고 매출 69% 증가했고, 구글 클라우드 54% 증가와 구글 신규 사업 27% 등 모든 사업 부문에서 골고루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매출 618.8억 달러로 전년 동기비 62% 증가, 전분기와 비교해도 12% 증가 이는 시장 예측치 516.6억 달러를 크게 상회한 어닝 서프라이즈
구글 클라우드 매출 46.3억 달러로 전년비 54% 증가 이는 시장 예측치 44억 달러에 비해 소폭 상회한 수치
자율주행회사인 웨이모(Waymo), 건강 관련 회사 Verily, Googlr Fiber아 같이 실험 프로젝트로 구성된 구글 “Other Bets”는 . 매출 1.92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 비 27.24% 증가했지만 . 영업손실 14억 달러, 영업손실율 73%를 기록해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었음 . 여전히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부문은 가시적인 성과가 나고 있지는 않는 상황
구글 실적, 분기별 구글 매출 및 매출 성장율 추이( ~ 2021년 2분기), Graph by Happist
유튜브 주도, 구글 광고 매출 32% 증가
코로나 팬데믹으로 움추러 들었던 경제가 활력을 되찾으면서 구글 광고 매출은 512억 달러를 기록, 전년 동기 비 32.3% 증가했습니다.
구글 광고 매출은 504억 달러로 전년 동기 299억 달러 비 69% 증가 . 구글 광고 매출 증가에 따라 구글 매출에서 광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81.5%로 소폭 상승 추세 유지 . 20년 1분기 팬데믹으로 광고 비중이 78%로 처음으로 80%이하로 떨어졌지만 이후 80%이상을 유지하고 있음
구글 검색광고는 358억 달러로 전년비 68% 증가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임
구글 광고의 핵으로 떠오르고 있는 유튜브 광고 매출 70억 달러로 전년비 84% 증가 . 유튜브 매출은 시장 예측치 63.7억 달러를 크게 상회
유튜브에서 틱톡에 대항하기 위해서 만든 Shorts의 조회수가 크게 증가 증가 . 1월말 일 35억 조회 . 3월말 일 65억 조화 . 6월말 일 150억 조회로 크게 증가 중
구글 네트워트 광고 매출 6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비 30.2% 증가
이러한 광고 성장은 소매업 성장에 따른 광고 수요 증가가 구글 광고 매출 증가에 큰 기여했다고 구글은 분석
분기별 구글 광고 매출 추이
구글 실적, 분기별 구글 광고 매출 및 광고 매출 성장율 추이( ~ 2021년 2분기), Graph by Happist
분기별 유튜브 광고 매출 추이
유튜브 광고 매출 70억 달러로 전년비 84% 증가 . 유튜브 매출은 시장 예측치 63.7억 달러를 크게 상회한 것
유튜브에서 틱톡에 대항하기 위해서 만든 Shorts의 조회수가 크게 증가 증가 . 1월말 일 35억 조회 . 3월말 일 65억 조화 . 6월말 일 150억 조회로 크게 증가 중
구글은 Connected TV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소비자 영역”이라고 말하면서 매달 TV에서 YouTube를 시청자가 1억 2천만명에 이른다고 발표
구글 실적, 분기별 유튜브 광고 매출 및 성장률 추이( ~ 21년 2분기), Graph by Happist
참고로 미국 Connected TV 침투율은 82%에 이르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 TV 인터넷 연결율 및 미국 유료 TV 침투율 추이, Internet-connected TV penetration rate(%) & US Pay-TV Penetration Rate(%), Data from Statistic, Graph by Happist
구글 광고 타입별 매출 증가율 비교
구글 광고를 크게 검색광고, 유튜브 광고 그리고 네트워크 광고로 분류 시 이번 21년 2분기에도 유뷰트 광고 매출 증가율이 84%로 가장 높고, 검색광고 68% 그리고 네트워크 광고는 60%를 기록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모든 광고 유형 매출 증가율이 골고루 상당히 높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구글 실적, 분기별 구글 광고 종류별 매출 성장율 추이( ~ 2021년 2분기), Google Digital ADs growth(%), Graph by Happist
구글 클라우드 매출 46.3억 달러, 54% 증가
인프라 및 데이터 분석 플랫폼, Google 문서 및 스프레드시트와 같은 공동작업 도구, ‘기업 고객을 위한 기타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글 클라우드는 모처럼 성장율이 크게 상승했으며, 특히 영업손실이 크게 줄면서 향허 사업 전망을 발게 했습니다.
2분기 구글 클라우드 사업부는 매출 46.3억 달러를 올리면 전년비 54% 증가했습니다. 구글 클라우드 성장율은 오랬도앙 ㄴ40%대에 머물고 있었는데 오랜만에 50%이상 성장하면서 성장세를 더욱 더 가속화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구글 클라우드 영업손실은 5.91억 달러로 전넌동기 14.3억 달러에서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구글 실적, 분기별 구글 클라우드 매출 및 성장율 추이( ~ 2021년 2분기), Graph by Happist
2분기 구글 영업이익 194억 달러, 203% 증가
21년 2분기 구글 손익 지표는 전반적으로 크게 좋아졌습니다. 매출총이익은 11%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03% 증가했고. 순이익은 166% 증가했습니다.
애플 아이폰에서 검색을 가능하게 만드는 등 검색 트래픽을 얻기 위해 지불한 TAC(트래픽 획득 비용)은 109.3억 달러로 시장 예측치 97.4억 달러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매출총이익은 357억 달러, 매출총이익율 81%로 전년비
영업이익 194억 달러, 영업이익율 31.3%로 전년비 203% 증가 . 처음으로 영업이익률 30%대를 돌파 함
순이익 185억 달러, 순이익율 29.9%로 전년 비 166% 증가
주당 순이익(EPS) 27.26 달러로 시장 예측치 19.34달러를 크게 상회
분기별 구글 영업이익 추이
구글 실적, 분기별 구글 영업이익 및 영업이익율 추이( ~ 2021년 2분기), Quarterly Google operating income & operating margin(%), Graph by Happist
분기별 구글 순이익 추이
구글 실적, 분기별 구글 순이익 및 순이익율 추이( ~ 21년 2분기), Graph by Happist
월가의 구글 주가 전망
월가 증권사들은 구글 주식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구글 주가 목표는 어느정도로 보는지를 간단히 정리해 봤습니다.
7월 기준 구글 주식에 의견을 낸 증권사가 많이 줄었습니다. 예전 10개 이상에서 7월에는 5개에 불과합니다.
구글 주식에 대해 강력 매수 2곳, 매수 3곳으로 구글 주식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네요
이에 따라 구글 주식 추천지수는 1.6으로 매수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구글 주가 목표는 2,625달러로 현재 주가는 2,735달러로 증권사들의 주가 목표보다는 한참 위에 있습니다. 증권사 예상보다 후ㅝㄹ씬 더 빠르게 구글 주가가 상승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20년 3분기 구글 실적 분석
구글 지주회사인 알파벳이 시장 기대를 충족하는 3분기 구글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처음으로 분기 매출이 감소했던 2분기 충격에서 벗어나 3분기 구글 실적은 매출 14% 성장과 이익이 크게 증가하는 좋은 성과를 냈습니다.
이번 3분기 구글 실적을 살펴보고 여기에서 읽을 수 있는 시사점을 5가지로 정리해 봤습니다.
1. 디지탈 광고 부활, 구글 광고 증가
코로나 팬데믹으로 기업들이 마케팅 활동을 크게 줄였고 그러면서 전반적인 광고 수요가 크게 감소하면서 구글의 검색 광고도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2분기엔 처음으로 구글 매출이 역성장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어느 정도 진정(?)되고 국가적 사회적으로 대응 방안들이 나오고 경제 봉쇄 해제 및 정상적인 경제활동으로 복귀하면서 다시 광고 수요도 증가했고, 이와 더불어 구글의 광고 부문도 성장했습니다.
3분기 구글 광고 매출 371억 달러로 전년 비 9.76% 성장
3분기 구글 광고 중 검색 광고 부문 매출 26.3억 달러로 전년 비 6.45% 성장
3분기 구글 광고 중 유튜브 광고 매출 50.4억 달러로 전년 동기 38억 달러에 비해서 32.4% 성장
3분기 구글 실적, 분기별 구글 광고 매출 및 광고 매출 성장율 추이( ~ 2020년 1분기), Google Digital AD Revenue, Graph by Happist
이처럼 이번 3분기에 구글의 디지탈 광고 매출이 크게 늘면서 구글 성장을 이끌기는 했지만 광고 외 다른 성장 사업들의 성장세가 더 높게 유지되면서 구글 전체 매출에서 광고가 차지하는 비중은 경향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구글 전체 매출에서 광고 비중은 2015년도에는 90%에 가까웠으나 조금씩 감소해 지난 20년 2분기에는 처음으로 80%이하로 떨어져 78%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3분기에는 구글 디지탈 광고 매출이 크게 증가해 80%선으로 올랐지만 경향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보여 집니다.
3분기 구글 실적, 분기별 구글 광고 매출 비중 추이( ~ 2020년 3분기), Graph by Happist
2. 구글 클라우드 매출 고성장 지속
이번 3분기 구글 클라우드 매출은 34,4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23.8억 달러에 비해서 44.8% 성장했습니다.
비록 지난 20년 2분기부터 성장률이 40%대로 하락했지만 3분기 아마존 웹 서비스(AWS) 성장률 29%보다는 훨씬 높은 수준이며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성장률 48%와 비슷한 수준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구글 클라우드는 여전히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클라우드 업체 중의 하나임을 이번 3분기 실적을 통해서도 입증하고 있습니다.
분기별 아마존 웹 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 성장률 비교( ~ 20년 3분기), Graph by Happist
3. 구글 픽셀폰 매출 증가
구글은 삼성이나 애플을 견제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레퍼런스 폰인 픽셀(Pixel)폰을 제작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 픽셀폰 매출은 별도 독립 카테고리로 발표되지 않고 구글 기타(Google Other)에서 집계되고 있는데요.
이 구글 기타 매출이 이번 3분기에는 54.8억 달러에 이르러 전년 동기 40.5억 달러에 비해서 35% 증가하는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삼성전자 스마트폰이 3분기에 스마트폰 수요 증가로 좋은 성과를 냈듯이 구글 픽셀폰도 스마트폰의 영향을 받아 높은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보입니다.
아 물론 구글 기타(Google other)애는 구글 픽셀폰 매출 뿐만이 아니라 유튜브 비광고 매출도 포함되어 있으니 경향적으로만 이해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4. 구글 매출 14% 성장, 그렇지만 증가세 둔화 지속
20년 3분기 구글 매출은 46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비 14% 성장하면서 전 분기 -1.7% 역성장에서 벗어나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하는데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중장기적 구글 매출 추이를 살펴보면 18년 1분기 26% 성장이후 분기 성장률이 10% 초반까지 내려온 매출 증가세 둔화 조짐의 연장선에 서 있습니다.
3분기 구글 실적, 분기별 구글 매출 및 매출 성장율 추이( ~ 2020년 3분기), Graph by Happist
아마 구글 매출이 예전처럼 20%이상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려면 광고 외 클라우드 및 다른 혁신 사업 부문이 빠르게 성장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광고 내에서도 검색 광고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유튜브 광고가 보다 더 큰 규모로 성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5. 매출 증가를 뛰어넘는 손익 증가
매출총이익 : 461.7억 달러, 매출총이익률 54.2%로 전년 동기 대비 14% 상승 단 매출총이익률은 56.6%에서 54.2%로 다소 하락
영업이익 : 112억 달러, 영업이익률 24.2%로 전년 동기 비 22.2% 증가
당기순이익 : 112.13억로 전년 동기 91.7억 달러 비 59% 증가
주당순이익 : 16달러 40센트 (전년 동기 10달러 12센트) 이는 시장 추정치 11달러 29센트를 상회
20년 3분기 구글 이익 구조를 살펴보면 위에서 언급한대로 매출총이익률은 54.2%로 전년 동기 비 2.4%p 낮아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률은 22.6%에서 24.2%로 크게 좋아진 이유는 3분기 구글 마케팅 비용을 42.3억 달러만을 지출해 전체 매출에서 비중이 전년 동기 11.3%에서 9.16%로 크게 낮추었기 때문입니다.
3분기 구글 실적, 분기별 구글 영업이익 및 영업이익율 추이, Quarterly Google operating income & operating margin(%), Graph by Happist
삼성전자 등 최근 굉장히 좋은 이익 실적을 낸 회사들의 특징 중의 하나가 오프라인 매장이 문들 닫으면서 마케팅 활동이 줄어들고 이는 곧 마케팅 비용 감소로 손익 개선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동일한 맥락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더우기 순이익은 112.5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전년 비 59% 증가했는데요. 이는 위에서 설명한 영업이익 증가 외에도 증권 수익 증가 등의 기타 수익이 27억 달러 이상 증가하면서 순이익률을 17.4%에서 24.3%로 크게 높였습니다.
3분기 구글 실적, 분기별 구글 순이익 및 순이익율 추이( ~ 20년 3분기), Quarterly Google operating income & operating margin(%), Graph by Happ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