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쓰오일의 ‘당신은 수퍼맨’ TV 광고 시리즈 중 20일 공중파를 타기 시작한 ‘엄마편’. 남편 출근 준비하랴, 자녀 학원 데려다주랴, 알뜰 장보기와 가족 영양보충에 노심초사하랴, 짬짬이 자기 몸 가꾸랴, 오늘날 활동적 엄마의 전형을 보여준다. 말미엔 힘겨운 일상에서 벗어나 승용차를 타고 시원한 하늘로 날아가는 모습을 만화처럼 구현해 엄마들을 성원했다.
동화약품의 피부연고 ‘후시딘’의 새 광고. 큰 마음 먹고 ‘거금’을 들여 파마 머리를 했건만 무심한 남편은 눈길도 주지 않아 마음의 상처를 입는다. 후시딘이 이런 마음의 상처를 치료해준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광고 마케팅에 ‘엄마’가 부쩍 자주 등장하고 있다. 엄마 이미지는 다양하다. 억척스러운 수퍼우먼의 모습을 그린 에쓰오일 광고가 있고, 섬세하고 가녀린 엄마 이미지의 동화약품 광고 같은 것도 있다. 하지만 ‘가족’ 코드라는 불황기 마케팅 전략의 정석을 충실히 따른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그런데 왜 엄마인가.
10년 전 외환위기 직후의 광고마케팅은 ‘아빠 신드롬’에 푹 빠졌다. 실직한 가장, 사업이 거덜 난 아빠, 어깨를 축 늘어뜨린 중년 남성들이 광고의 주인공이었다. 그래서 송혜교를 내세운 “아빠! 힘내세요” CM송(BC카드)처럼 남성 가장에 대한 응원이 주류였다. 그러던 것이 10년 뒤 오늘날 경제위기에선 엄마가 무대를 차지했다.
이에 대해 제일기획 박재항 커뮤니케이션연구소장은 “가계의 경제권이나 소비 결정의 무게 중심이 엄마 쪽으로도 꽤 이동한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10년 전 외환위기 때만 해도 ‘가정 경제’의 주체는 남편이나 아버지였다. 그러다 보니 남성 가장의 실직이나 사업실패가 가족들의 가장 큰 두려움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맞벌이 가정이 늘고 ‘알파걸’이라는 활기찬 직장여성 계층이 두터워졌다. 심지어 아내가 벌고 남편이 들어앉아 가사를 돌보는 가정도 늘고 있다. 가사와 2세 교육, 자기 직장일 등 안팎으로 하루 24시간이 모자라는 ‘수퍼맘’이 늘면서 광고의 코드도 자연스레 엄마 쪽으로 옮겨갔다는 이야기다.
문화계 전반에도 ‘모성’ 열기가 뜨겁다.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가 베스트셀러로 자리를 굳혔다. 28일 개봉한 김혜자 주연, 봉준호 감독의 영화 ‘마더’는 섬뜩할 정도의 강렬한 모성애를 내세워 관객몰이를 할 조짐이다. TV 드라마에선 ‘엄마가 뿔났다’에 이어 ‘내조의 여왕’이 연속 홈런을 쳤다. 트렌드에 민감한 광고 마케팅이 이런 흐름을 놓칠 리 없다.
주인공까진 아니지만 메시지가 엄마를 겨냥하거나 엄마를 주제로 한 광고들도 많다. CJ제일제당의 ‘백설 프락토 올리고당’은 최근 광고에서 영화 ‘과속 스캔들’의 어린이 커플 왕석현·전민서를 등장시켰다. ‘어떤 엄마를 만나느냐가 중요해!’라는 카피와 함께 맛난 웰빙 요리를 만들어 주는 엄마를 원한다는 내용을 전달했다. 이 제품의 마케팅을 맡은 이봉준 부장은 “남편과 자녀에게 좀 비싸더라도 좋은 걸 먹이겠다는 엄마의 마음을 자극해 보고자 했다. 광고가 나간 뒤 매출이 30%가량 늘었다”고 말했다.
롯데제과는 ‘마더스 핑거’라는 고급 과자를 내놨다. 아예 제품 이름(‘엄마의 손길’이라는 뜻)에 엄마라는 말을 넣은 것. TV 광고에는 “놀라거나 급할 때 우린 왜 엄마부터 찾을까요, 대한민국 과자도 엄마를 찾을 때가 됐습니다”라는 카피가 흘러나온다. 남양유업도 초유 성분을 강화한 분유 이름(‘아이엠마더’)에 ‘엄마’를 넣었다. 그러면서 엄마를 굳게 믿으라는 광고 카피를 내세웠다.
엄마 열풍은 제품 포장까지 이어졌다. CJ제일제당의 신제품 ‘유기농 설탕’과 ‘유기농 밀가루’ 포장지에는 엄마와 아이가 밝게 웃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마더스 핑거’ 겉포장에도 엄마가 등장한다.
최지영 기자
자료원 : 중일일보 기사입력 2009-05-29 00:45 |최종수정 2009-05-29 0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