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op
-2.2 C
New York
화요일, 12월 24, 2024

Buy now

밀레니얼이 대세라고? 이젠 페레니얼(Perennial)이 뜨고 있다네!!

우리가 흔히 상식적으로 미레니얼들의 중요성을 알고 이를 어떻게 대응하느냐를 고민하고 있지만 이미 미국등에서는 나이든 노동자라 할 수 있는 페레니얼(Perennials)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한다.

오늘은 어쩌면 굉장히 생소할 수 있는 용어인 페레니얼(Perennials)에 대해서 이해의 폭을 넓혀 보자.

어디에서든 일방주의가 아닌 조화와 균형이 중요하다는 점도 살짝 염두에 둬 보자.

경험많은 시니어 인턴 이야기를 다룬 영화 인턴(The Intern)

영화 인턴을 기억하는가?

창업 1년만에 직원 220여명을 거느린 성공적인 의류 인터넷 쇼핑몰로 성장시킨 30세의 열정적인 CEO 앤 해서웨이는 수십년의 직장 경험을 가진 70세의 벤(로버트 드 니로 분)을 채용한다.

회사에서는 CEO이지만 사회에서는 아직 갓 대학을 졸업한 인턴과 같은 30세의 여성 스타트업 경영자가 인생 경험이 풍부한 시니어 인턴 벤의(로보트 드 니로 분) 조언을 받아가며 회사내의 위기나 가정사의 위기들을 극복해가는 낸시 마이어스의 2015년 영화이다.

영화 인턴(The Intern) 포스터  경험은 결코 나이들지 않는다( Experience never gets old)라는 문구가 이 영화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잘 표현하고 있다.
영화 인턴(The Intern) 포스터 경험은 결코 나이들지 않는다( Experience never gets old)라는 문구가 이 영화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잘 표현하고 있다.

뭐 이 영화에 대해서 이런 전런 비판과 비평이 가능하겠지만 직장에서의 경험 그리고 인생에서의 경험은 결코 싸그리 무시되어서는 안될 소중한 것이다라는 분명한 메세지를 전해준다는 생각이다.

앤 해서웨이와 로버트 드니로와 같은 헐리우드 탑 배우들이 출연한 것도 분명 흥행에 도움이 되었지만 트렌드에 맞는 환경 설정에 조금은 독특한 상황 설정에서 무난하게 갈등을 해소하는 감동을 주기 때문에 어 흥행에 성공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로버트 드 니로와 같은 시니어, 페레니얼(Perennials)이 뜬다.

그동안 새로운 소비 주체로 떠오른 밀레니얼에 대한 관심이 하늘을 찔렀죠.
밀레니얼 계층과 이어 등장하는 Z 세대를 제대로 연구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지적이 팽배해 있었고 이들을 공부하는 열풍이 지난 몇간간의 가장 강력한 트렌드 중의 하나였다.

새롭게 등장하는 밀레니얼을 비롯한 젊은 세대들이 소비의 메인 계층으로 등장해 미래 소비와 서비스 자체를 바꾸고 있다는 그동안의 분석이 정설로 굳어진 가운데 그동안 무시했던 나이든 세대들이 소리 소문없이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 내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X세대에 이어 등장한 Y 세대를 우리가 밀레니얼 세대(Millennials Generation)라고 불리는 것처럼 55세 이상 층을 지칭하는 페레니얼(Perennials)이 그것입니다.

시니어 인턴 이야기를 다룬 2015년 작 인턴(The Intern) 장면 중의 하나
시니어 인턴 이야기를 다룬 2015년 작 인턴(The Intern) 장면 중의 하나

왜 페레니얼(Perennials)이 중요해지는가?

그러면 왜 갑자기 페레니얼(Perennials)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일까요?
사실 나이든 페레니얼(Perennials)은 그간의 트렌드를 이끌어 왔던 밀레니얼과는 아주 많이 다른 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향후 가장 큰 인구집단일 될 예정

페레니얼(Perennials)이 중요해지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이들이 가장 큰 인구 집단이 될 것이라는 전망때문이다.

미국 인국통계국에 따르면 1994년에서 2024년에 걸친 30년동안 인구 구성 추이를 전망해 보면 55세이상의 노동 인구는 처음에는 작은 작은 부분을 차지했지만 점점 증가해 가장 큰 인구를 가진 영역으로 극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는 층이라고 한다.

이러한 추세는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선진국들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도 인구 노령화에 ㄸ짜라 이들 연령의 노동인구는 더욱 더 빨리 증가하고 있다.

점점 직업에 대한 열망이 커지는 세대

이렇게 55세 이상의 고령 노동자의 증가는 70대나 80대까지 계속 일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왜 이렇게 나이가 들어서도 일을하려는 것일까?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의료 등 과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빠르게 늘고 있다. 그리고 평균 수명이 늘어난만큼 나이든 사람들이 이전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게 되면서 집에서 쉽기 보다는 일을하는 것을 선호하게 된다.

또 육아 문제로 어쩔 수 없이 경력 단절을 강요받았던 수많은 고학력 여성 전문 인력들은 50대 후반에라도 그들의 전문적 지식을 활용해 사회로 다시 나오고 싶어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수십년동안 직장, 학교, 기관등에서 동료들과 함께 일을 해온 남여 사람들은 여가를 즐기는 대신 사회적, 지적인 자극있는 삶을 포기하지 않기를 원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하루 빨리 직장에서 벗어나 쉽고싶은 사람도 많겠지만 직장을 통해서 또는 일을 통해서 삶의 의미를 찾기를 원하는 경우도 많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직업없이는 점점 생존하기 어려운 시대가 되다.

한때 미국의 경우 은퇴자금으로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하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defined-benefit retirement)을 통해서 은퇴후에도 어느정도 여유로운 생활이 가능했었다.
그러나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defined-benefit retirement)은 기업 부담이 크기때문에 이제는 점점 확정기여형(Defined Contribution Plan)으로의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점점 은퇴하는 나이든 사람들이 현재의 생활 수준을 유지하려면 직업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구조로 흘러가고 있다.

한국같으면 예전 자식을 통해서 노후 보장을 하던 시기가 있었지만 이제는 자식에 기댈 수 없고(부모 봉양하겠다는 자식도 이제는 거의 없다) 노후를 스스로 책임저야 하는 시대이다. 엄청난 여유 자금을 저축해 놓지 않은 이상 직업을 가지면서 최소한의 생계를 유지해야 한다.

기업도 페레니얼(Perennials)이 의미가 있다.

기업 노동력을 전무 젊은이들로 채우는 것이 과연 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될까?

문제는 나이가 많고 적음에 있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능력을 가지고 회사가 필요로하는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기업으로서는 풍부한 경험을 가진 나이든 노동자들은 어느정도 합리적인 임금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이는 회사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연공서열이 중시되는 회사라면 나이가 들어 회사 경력이 높아짐년 그만큼 높은 급여를 주어야하므로 언 시점이 지나면 그들의 경험이나 능력보다도 더 많은 돈을 받아가 비효율이 발생한다.

그러난 연공서열이 아닌 적합한 업무 할당에 따라 하는 일만큼 합리적으로 급여를 책정할 수 있다면 효율적인 인력 운영이 될 수도 있다.

더우기 많은 부분이 자동화되고 컴퓨터에 AI까지 동원되는 시기라면 단지 젊다는 이유가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는 아닌 시기로 변하고 있다. 안타깝지만 점점 젊음이나 나이듬이 아닌 그 업무를 누가 가장 잘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해 졌다.

밀켄연구소 미래 노화 연구 센터(Milken Institute’s Center for the Future of Aging)와 스탠포드 장수 재단의 연구 결과는 노년층 노동 인구에 대해 그들 특성을 제대로 케어한 결과 병가가 줄었고, 더 강한 문제 해결 능력을 보였으며, 직장에서 젊은 동료들보다 더 만족감을 느낀다는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기업에게 페레니얼(Perennials)이 분명한 의미가 잇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페레니얼(Perennials)이 증가는 사회 경제적으로도 의미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페레니얼(Perennials)들이 급속히 증가하는 것은 사회 경제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노년층에서 더 건강하고 생산적인 사람들이 늘어날수록 경제에 도움이 된다. 이 사람들 연금을 통한 생활이 아닌 자기 직업을 가지고 소비한다면 경제가보다 더 활성화 될 것이다.
통계에 따르면 50세 이상 미국인들은 연간 7조 6천억 달러를 소비하고 있으며 2010년에는 이들의 소비는 15조 달러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또한 이들이 일을 계속한다는 것은 납세자로 남는 것을 의미하므로 노인층을 비롯해 더 많은 사람이 경제에 참여할수록 경제 성장 가능성이 높아진다.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

이렇게 나이가 들어서도 일자리를 찾는 페레니얼(Perennials) 인구가 증가하고, 어쩌면 이들밖에 활용할 수 밖에 없었던 곳에서는 어떻게 이 문제를 풀고 있을까?

나이든 노동자를 배려로 성장성을 높인 BMW

독일의 한 BMW 공장에서는 노동자들이 급속히 노령화된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들 노년층 노동자를 수용하기 위해서 생산 시설을 개조했다.

인체공학적인 의자를 도입하고, 보다 부드러운 공장 바닥으로 개조했고 컴퓨터에서 할 수 있는 일의 유형을 늘렸고 더 많은 보조 작업 부츠를 제공했다 그 결과 생산성은 증가했고 결근은 크게 감소했다.

여기는 젊은들의 입사는 줄어 나이든 노동자가 늘어난 어쩌면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대한 이야기이긴 하지만 여기서 이야기하는 페레니얼(Perennials)에 대한 사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절은 노동자와 나이든 노동자의 조화를 추구한 PwC

2011년과 2012년 컨설팅사인 PwC는 밀레니얼을 비롯한 전 연령대 노동자들의 니즈를 조사해, 모든 연령대의 노동자들이 개인적인 우선 순위에 맞추어 일정을 조정할 수 있는 우연한 업무 정책을 실시했다.

이것을 활용하면 낮에 일정 시간 재택 근무가 가능하므로 따 또는 손녀를 학교에서 데려오고, 가족과 식사를 하는 등 좀 더 워라벨을 충족할 수 있게 된다. 또 사무실에 굳이 출근할 필요가 없는 날을 만들 수 있어 이를 활용한 가족의 대소사를 챙길 수도 있다.

이러한 융통성있는 업무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PwC는 나이든 노동자뿐만이 아니라 젊은 노동들까지도 그들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었다.

마치며

기술도 빠르게 변하고 있고 더불어 사회 트렌드도 정말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렇게 빠르게 변하는 인구통계학적, 기술적 변화에 따라 직장도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직장에서의 변화는 기존에 알려진대로 밀레니얼에 의해서 주도되는 부분도 많지만 점점 더 증가하는 페레니얼(Perennials)에 의한 변화도 점점 커지는 것 같다.

우리나라도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고, 평균 수명도 정말 빠르기 늘어나고 있다. 페레니얼(Perennials)라고 불리우는 이런 나이든 노동자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은 사회에 활력을 주고 경제가 한층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지금은 너무 아무런 보호막없이 사회에 내 팽개쳐지고 있다.

spot_img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spot_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