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파묘가 천만 영화에 등극하면서 승리감을 만끽한 이들 중에서 IBK기업은행의 문화콘텐츠 금융부가 있다. 대부분 영화팬들에게는 생소한 이름이지만 영화, 드라마 업계에서는 뛰어난 투자 성과로 쟁쟁한 이름을 올리고 있는 곳이라고 한다.
이 IBK기업은행의 문화콘텐츠 금융부가 영화 파묘 성공에 웃을 수 있는 이유는 이 영화 파묘에 10억원을 투자해 현재까지의 수익률이 100%를 넘기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 파묘 관객이 얼마까지 늘어날지에 따라 투자 수익률은 계속 높아질 것
은행권의 문화 콘텐츠 전담 부서로는 기업은행 문화콘텐츠 금융부가 국내 최초이며 유일하다고 하는데 이 부서가 그렇게 놀라울 정도로 성공을 거둔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서 조선일보가 성공 이유를 인터뷰해서 기사화했는데, 이 기사를 기반으로 성공요인을 살펴보자.
사실 기업은행 문화콘텐츠 금융부 성과에 대해서는 매년 보도자료가 나왔는데 이번 조선일보 기사에서는 성공요인에 대한 상당히 재미있는 내용이 있다.
기존에 알려진 문화 콘텐츠 투자 원칙에 더해 문화 콘텐츠 대상자들에 대한 객관적인 정량화를 시도화하면서 성공 가능성을 높히는 노력이 경주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매우 흥미롭자.
기업은행 문화콘텐츠 금융부 투자 성과
- 투자 영화 129편,
- 기생충
- 천만영화 11편 : 파묘, ‘명량’, ‘극한직업’, ‘신과 함께(죄와벌·인과연)’, ‘국제시장’, ‘베테랑’, ‘암살’, ‘부산행’ 등
- 직접투자액 692억원(대출이나 펀드 등 간접 투자를 포함 시 7조원 이상)
- 투자 성과
- 기생충 등 글로벌 호평을 받은 영화
- 11편 천만 영화(파묘(’24), 명량(’14), 극한직업, 신과 함께1(’17) 2(’18), 국제시장(’14), 베테랑, 암살, 부산행)
- 역대 천만영화 32편중 11편을 투자
- 천만영화 평균 수익률 176.7%
- ’24년 천만영화 파묘 투자 10억원, 수익률 100%를 넘김
- 극한직업 투자 7.9억원, 수익률 377%
- 범죄도시2(’22) 253%
- 국제시장(’14) 95.4%
- 신과함께1(’17),2(’18) 89.5%
기업은행 문화콘텐츠 금융부의 콘텐츠 투자 성공 요인
일반적으로 영화나 뮤지컬은 제작사가 영세한 경우가 많고, 배우의 일탈 등 인적 리스크가 높아 투자 선호도가 떨어진다.
그동안 기업은행 문화콘텐츠 금융부는 이 분야를 개척해 쌓은 노하우로 영화 ‘명량’을 포함해 ‘신과 함께 1·2′, ‘국제시장’ 등 역대 천만 영화 32편 중 11편을 미리 알아보고 투자했다.
기업은행의 영화 투자 성공 비결은 모든 정성적인 요소를 최대한 정량화한 객관적 자료에 기반해 투자 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특히 기업은행 투자결정의 특이점은 최종 조정 단계에 있다. 콘텐츠 대상자들을 객관화, 정량화해서 개방성이 높은 지를 확인해 일정 점수 이상만 투자하는 기준을 만들었다.
- 기업은행은 감독이 60세 이상이면 10% 감점한다.
- 너무 나이가 많으면 감독의 생각에 주위 사람들이 이견을 내기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한다.
- 반대로 30·40대 감독의 데뷔작이면 10% 가산점을 준다.
- 젊은 의욕으로 만들어 성공 가능성이 올라갈 것으로 보는 것.
- 출연 배우나 감독이 직전에 3번 연속으로 흥행작을 만들었으면 (점수를 오히려) 10% 깎는다.
- 지나친 자신감 역시 위험 요소로 친다.
- 반대로 직전 작품이 폭망한 감독이면 10% 가산점이 부여된다.
- 이번엔 반드시 성공하겠다는 각오로 (개방성을 가진 상태에서) 작업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
- 배우나 감독·제작사가 혈연·지연·학연 등 특수 관계인 경우도 10% 감점한다.
- 에코 쳄버에 갇혀서 외부의 좋은 아이디어를 받아들일 가능성이 떨어지기 때문
- 이 같은 미세 조정 단계를 거쳐 최종 점수가 100점 만점에 65점 이상이 돼야 투자 대상으로 선정된다.
기업은행 투자결정은 나이, 성공경력, 특수 관계 등으로 개방성이 떨어지는 창작자에게는 감점을 주고, 개방성이 높은 창작자의 작품에는 가산점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