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op
25.6 C
New York
토요일, 6월 21, 2025

Buy now

은퇴 준비 01, 은퇴 후 필요한 은퇴 생활비 24년 336만원, 27년 356만원

은퇴를 고려하느 사람의 가장 궁금한 질문은 무엇일까? 그럿은 아마도 은퇴 후 기본적인 생활비는 어느정도 나올까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은퇴 준비 질문 첫번째로 은퇴 생활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서울 수도권 주거 부부 생활 시 적정 은퇴 생활비는 24년 336만원에서 27년에는 356만원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한다.

은퇴 준비 시리즈

은퇴 준비 01, 은퇴 후 필요한 은퇴 생활비 24년 336만원, 27년 356만원

은퇴 준비 02, 56세가 준비할 수 있는 은퇴자 연금에는 무엇이 있을까?

은퇴 준비 03, 희망퇴직 절세 방안

은퇴 준비 04, 56세가 준비할 수 있는 은퇴자 연금에는 무엇이 있을까?

은퇴 준비 05, 국민연금 추가 불입 장단점과 국민연금 추가 불입 적정 시기는?

은퇴 준비 06, 국민연금 수령 시기별 장단점

은퇴 준비 07, 개인연금 개시 시기, 55세 개시 vs 60세 개시 중 언제가 더 유리한가?

은퇴 준비 08, 재직자 개인연금 개시 시기: 개인연금 조기 개시로 투자가 나을까

은퇴 준비 09, 은퇴자 건강보험료 최적화 방안

은퇴 준비 10, 은퇴자 투자 전략, 퇴직금 일시 수령 후 미장 직접 투자(미국 월배당 ETF 직접 투자)

은퇴 준비 11, 은퇴자 투자전략, 퇴직금 직접 투자와 연금 수령 중 무엇이 나은가?

서울 및 수도권 은퇴 부부 기준 연도별 생활비 변화

아래 표는 서울 및 수도권에서 은퇴 후 부부만 거주하는 가구를 기준으로, 주요 연도별 적정 생활비(월 기준)를 정리한 것입니다. 각 수치는 정부 및 공신력 있는 기관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대도시(특히 서울 및 수도권) 기준임을 강조합니다.

연도월 생활비(만원)출처 및 비고
2011년184정부 발표, 대도시 기준
2019년267정부 발표, 대도시 기준
2023년268국민연금연구원, 부부기준
2024년296국민연금공단, 60대 부부 적정
2025년176~211 (연간 2,113)수도권 은퇴가구 평균(연간 2,113만원, 월 약 176만원)

주요 내용 요약

  • 2011년: 은퇴 부부 월 생활비 184만원(대도시 기준).
  • 2019년: 267만원으로 8년간 약 45% 상승.
  • 2023년: 국민연금연구원 조사 결과 부부 기준 평균 268만원.
  • 2024년: 국민연금공단 패널조사에서 60대 부부 적정 생활비 296만원4.
  • 2025년: 실제 수도권 은퇴가구의 연간 생활비 평균 2,113만원(월 약 176만원). 이는 실제 지출액 기준으로, 희망 또는 적정 생활비와는 차이가 있음2.

참고 사항

  • 적정 생활비는 “평범한 노후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준이며, 실제 지출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 지출액은 개인의 소비 성향, 건강 상태, 주거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 **수도권(서울 포함)**은 비수도권에 비해 생활비가 약 24% 더 높으며, 식비·주거비 등 주요 항목에서 차이가 큽니다.
  • 연령이 높아질수록 생활비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60대 이후에는 점진적으로 생활비가 줄어듭니다.
  • 은퇴 후 생활비는 은퇴 전 생활비의 70~80% 수준으로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결론

서울 및 수도권 기준으로 은퇴 부부의 적정 생활비는 2010년대 초반 180만원대에서 2020년대 중반 260~300만원대로 꾸준히 상승해왔습니다. 최근(2023~2024년) 기준으로는 월 270~300만원 수준이 적정 생활비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고령자들은 매달 적정 노후생활비로 부부기준 평균 268만 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정부에서는 은퇴 부부의 월 생활비가 267만원이라는 보도 자료가 있습니다. 그리고 2011년에는 184만원이었습니다. 8년 사이에 45%나 상승이 되었습니다.”

은퇴 생황비 은퇴 후 낚시를 증가는 남자
은퇴 후 낚시를 증가는 남자, Image by David Cardinez from Pixabay

앞으로 은퇴 후 생활비 전망 (물가상승 반영)

생활비 증가 추세와 전망

  • 최근 5년간 은퇴 부부(2인 기준) 적정 생활비는 약 400~450만 원 상승했으며, 2024년 기준으로 최소 월 240만 원, 적정 월 336만 원이 필요하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이는 5년 전보다 각각 약 400만 원(최소), 450만 원(적정)씩 증가한 수치입니다1.
  • 물가상승률(소비자물가지수)은 2025년 4월 기준 연 2.1% 수준이며, 2026~2027년에도 1.9~2.0%로 전망되고 있습니다46. 그러나 실제 체감 물가(생계비지수)는 이보다 높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5.

주요 변수 및 고려사항

  • 의료비, 식료품, 주거비 등 필수 지출 항목의 상승률이 전체 물가상승률보다 높을 수 있어, 은퇴 후 생활비 부담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15.
  • 연금 등 사회보장제도의 재정 악화로 인해, 향후 공적연금 수령액이 줄어들거나 수급 시기가 늦춰질 수 있습니다23. 이에 따라 개인의 자산관리 및 추가 소득원 확보가 중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 수명 연장과 실제 은퇴 시점의 조기화(예상 은퇴 나이보다 실제 은퇴가 약 5년 빠름)로, 은퇴 후 필요한 총 생활비 규모가 더 커질 수 있습니다1.

예상 생활비 변화 표 (서울·수도권, 부부 기준, 월 단위)

연도최소 생활비 (만원)적정 생활비 (만원)물가상승률(%)비고
2019년2002910.4통계청 조사
2024년2403362.1통계청 조사
2026년2493491.9 (예상)단순 추정치
2027년2543562.0 (예상)단순 추정치

※ 2026~2027년 수치는 2024년 대비 예상 물가상승률(1.9~2.0%)을 단순 적용한 추정치입니다.

전망 요약

  • 앞으로도 은퇴 후 생활비는 연 2% 내외의 물가상승률만 반영해도 꾸준히 오를 전망입니다46.
  • 특히 의료비, 식비, 주거비 등 실질적 생활비 부담은 더 크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15.
  • 공적연금의 재정 불안, 조기 은퇴, 기대수명 증가 등 구조적 요인까지 고려하면, 은퇴 준비에 있어 더 높은 생활비 인상률을 감안한 자산 관리가 필요합니다123.

결론
서울 및 수도권 은퇴 부부의 생활비는 앞으로도 매년 2% 내외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 체감상 인상폭은 더 클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은퇴 준비 시 보수적으로 생활비를 산정하고, 자산관리 및 추가 소득원 확보 전략이 중요해질 것입니다.

spot_img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spot_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