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op
25.6 C
New York
토요일, 6월 21, 2025

Buy now

1분기 엔비디아 실적 : 기대이상 실적과 실망스런 전망이나 주가는 상승하다

오늘 새벽에 발표된 1분기 엔비디아 실적 요약 및 소회를 기록해 본다.

엔비디아 실적 전망

1분기 엔비디아 매출 432억 달러

LSEG가 집계한 1분기 엔비디아의 매출 전망치는 432억달러다.

엔비디아 실적을 두고 기대와 우려가 공존했다 그 이유는 트럼프가 중국에 AI칩 ‘H20’ 판매를 금지했기 때문이다.

이를 반영해 엔비디아는 1분기에만 55억 달러 규모의 손실을 반영할 예정이다.

BoA, 2분기 실적 가이던스가 엉망일 수 있다고 경고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최근 보고서에서 엔비디아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지만 “2분기 실적 전망이 엉망진창(messy)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웨드부시, 낮은 중국 비중은 무식 가능하고 데이터센터 수요 강해 긍정적 평가

빈면 웨드부시와 오펜하이머는 모두 엔비디아 목표주가 175달러를 제시했다. 지난 2025년 5월 23일 종가인 131달러보다 30% 넘게 상승 여력이 있는 셈이다.

이들은 엔비디아의 중국 매출 비중이 5%에 불과하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또 주요 기업의 잇따른 데이터센터 설립에 따른 수혜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햇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대규모 계약 체결도 ‘호재’로 거론된다.

트럼프 대통령 준동 순방 기간에 엔비디아는 사우디 기업 휴메인에 최신 AI 칩 중 하나인 GB300 블랙웰을 1만8천개 이상 판매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 실적 : 기대이상의 실적과 실망스런 가이던스

현지시각 28일(수) 엔비디아(NVDA)는 FY26 1분기(2~4월) 영업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441억 달러(+69% 이하 YoY),
    • 이는 컨센서스(이하 LSEG 집계)를 8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96달러(+27%),
    • 이는 컨센서스를 0.03달러 상회
  • 사업부문별 매출
    • 데이터 센터 391억 달러(+73% 이하 YoY)
    • 게이밍 및 AI 38억 달러(+42%)
    • 전문 시각화 5.09억 달러(+19%)
    • 자동차 및 로보틱스 5.67억 달러(+72%)를 기록했다.
  • 영업이익 216.4억달러
  • 순이익 순이익은 188억 달러(+26% YoY)
  • 26년 2분기 가이던스
    • 매출 450억 달러±2%(최근 반도체 수출 규제로 인한 H20 매출 손실 약 80억 달러 반영)
      • 컨센서스 459억 달러 하회
    • 비GAAP 매출총이익률 72.0%±50bp
    • 비GAAP 영업비용 40억 달러 제시

엔비디아는 최근 중국향 H20 관련 반도체 수출 규제가 아니었다면, FY26 2분기 매출 가이던스가 약 80억 달러 높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FY25 4분기 매출 총이익률(61%)은 중국 관련 비용이 아니었다면 71.3%였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넋두리

엔비디아 실적 발표는 항상 시장의 큰 관심속에 진행되었다.
최근 엔비디아 실적은 분기 실적과 가이던스가 모두 훌륭한 수치를 제시했지만 시장을 폭락으로 대응해 하늘보다 높은 엔비디아에 대한 기대를 반영했다. 엔비디아 넌 그 이상 할 수 있잖아!! 실망스러워

물론 엔비디아 실적 발표 후 엔비디아 주가 폭락은 곧바로 회복하곤 햇다. 그래서 저가 매수 기회라는 월가의 충고가 나온곤했다.

이번에는 분기 실적은 좋앗지만 다음분기 가이던스는 실망스러웟다. 그럼에도 에프터마켓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6%이상 상슬하고 잇다난 아니러니하다. 다시 살펴보니 2분기 가이던스가 시장 전망보다 낮은 이유는 미국 수출통제로 80억 달러 정도를 제했기 때문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2분기 전망 가이던스는 시장 예상치를상회햇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 충분히 조정을 받앗고 엔비디아에 대한 기대가 무뎌지면서 보통주식으로 환원되고 있는 것인가?

주식은 항상 어렵다!!!

엔비디아 2025년 1분기 실적에 대한 월가 평가 요약

실적 요약

  • 엔비디아는 2025년 1분기(2~4월) 매출 441억 달러, 주당순이익(EPS) 0.96달러를 기록해 월가 예상치(매출 433억 달러, EPS 0.93달러)를 모두 상회했습니다[1][2][8].
  •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39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 전체 매출의 88%를 차지하며 AI 인프라 수요가 실적을 견인했습니다[1][2][7].
  • 게임 부문 매출도 38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2].

시장 반응 및 월가 평가

  • 실적 발표 후 엔비디아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약 3~4% 상승, 투자자 신뢰를 반영했습니다[2][6][10].
  • 월가는 “낮아진 기대치를 상회한 호실적”이라 평가했으나, 2분기 매출 가이던스(450억 달러)는 시장 전망(459억 달러)에 미치지 못해 다소 보수적이라는 반응도 있었습니다[1][7].
  • 중국 수출 제한 이슈로 인한 매출 감소 우려가 있었으나, 실제 영향은 시장 예상보다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평가됩니다.
  • 전반적으로 “AI 수요가 실적을 견인하며, 엔비디아의 시장 지배력이 유지되고 있다”는 긍정적 평가가 우세합니다.

엔비디아는 AI 칩과 데이터센터 부문에서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며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다만, 보수적인 가이던스와 대중국 수출 제한 영향은 주목할 만하다.

오늘 새벽에 발표된 엔비디아 실적에 대한 미국 월가의 평가를 정리해줘 블로그에 올릴 목적이므로 인용글은 Mark down을 사용해 [주제](인용 URL) 같은 형식으로 표현해줘 가는하면 의견을 표시한 IB별로 정리해 주면 좋겟어

엔비디아 2025년 1분기 실적에 대한 월가 IB별 평가 요약

Wedbush (Dan Ives)

  • “매우 견고한 분기”로 평가, 중국 수출 제한 등 도전에도 불구하고 AI 투자 확대에 힘입어 긍정적 전망 유지
    Wedbush 평가

Morgan Stanley

  • 재고 평가손실이 반도체 업계 사상 최대 수준이라며, 2분기 실적 가이던스가 시장 기대를 하회할 수 있다고 지적
    Morgan Stanley 평가

IO Fund (Beth Kindig)

  • “엔비디아는 이제 자기 자신과 경쟁하는 상황”이라며, Q2 성장 모멘텀 둔화와 Blackwell 신제품 출하 속도에 주목
    IO Fund 평가

종합적 시각

  • 실적 자체는 시장 기대를 상회했지만, 중국 수출 제한 등으로 Q2 가이던스가 보수적이고, 성장률 둔화에 대한 경계가 존재
  • 그러나 AI·데이터센터 수요와 글로벌 빅테크의 투자 확대, 사우디·UAE 등 신규 수주 등 장기 성장성에 대한 신뢰는 여전
    종합적 시각
    종합적 시각

참고 인용

정리

  • 실적은 월가 예상치 상회, 주가는 시간외에서 강세
  • AI·데이터센터 부문 성장세 지속
  • 2분기 가이던스는 다소 보수적, 중국 이슈 영향은 제한적
  • 월가의 전반적 평가는 “예상 상회, 성장 모멘텀 유지”로 요약됨

연합뉴스 기사
Investing.com 실적 요약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요약

spot_img

Latest articles

Related articles

spot_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