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란 폭격에 대한 월가의 반응을 정리하고 유가 전망, 주가 전망을 정리해 보자 한국 언론보다는 WSJ, NYT, CNBC 등 미국 언론 그리고 가능하면 유럽 언로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도록 하자
Table of contents
목차 보이기
미국 이란 폭격에 대한 월가 및 주요 기관 반응
월가 반응 요약
- 월가는 이번 미국의 이란 핵시설 폭격을 “억제라는 환상이 산산조각났다(shattered illusion of containment)”고 평가하며, 중동 리스크가 현실화된 중대한 분기점으로 인식하고 있음
- 투자자들은 원유, 암호화폐, 글로벌 증시 전반의 변동성 확대와 안전자산 선호 심화에 대비하고 있음.
기관별 전망
- S&P Global: 원유 공급은 당장 충분하나, 호르무즈 해협 봉쇄 등 해상 운송 차질 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
- NatAlliance Securities: 안전자산(달러, 국채) 선호가 강해지고, 유가 급등, 주가 하락, 채권 수익률 하락을 전망.
- SPI Asset Management: 에너지 시장, 해상 운송, 위험자산 심리 전반에 예측불가능한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
주가 및 금융시장 전망
- 증시는 이미 하락세를 보였으며, 추가 하락 압력과 함께 안전자산 쏠림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
- 유가는 급등세가 불가피하며, 달러 강세와 함께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점화될 수 있음.
- 시장은 이란의 보복 가능성, 특히 호르무즈 해협 봉쇄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음.
유가, WTI 추이

주요 외신 및 유럽 반응
- WSJ: 이란은 “피해가 제한적”이라고 주장하며 즉각적 보복 대신 전략적 시간 벌기에 나섰다고 보도. 이란 국영매체는 포르도 시설 피해가 입구 터널에 국한됐고, 주요 장비는 이미 이전했다고 발표.
- NYT: 트럼프 대통령은 “핵시설 완전 파괴”를 주장했으나, 실제 피해 규모는 미확인 상태. 이란은 협상 거부 입장을 밝히고 이스라엘에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긴장이 고조.
- CNBC: 글로벌 투자자들은 이번 사태가 향후 며칠간 시장과 정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유럽은 신중하고 조건부 지지, 외교적 해법 촉구.
- 유럽 언론/정부: 영국은 “이란의 핵무기 보유 불가”를 강조하며 미국의 군사행동을 조건부 지지, 프랑스와 독일은 자제와 외교 복귀를 촉구.
이란 언론 및 공식 입장
- 이란 외무장관은 “충격적인 공격”이라며 “주권과 국민, 이익 수호를 위한 모든 옵션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경 대응을 시사.
- 이란 국영매체는 미국의 폭격 피해가 제한적이며, 주요 핵시설은 이미 보호조치를 취했다고 주장. UN 핵감시단도 방사능 누출은 없었다고 발표.
- 이란은 보복을 예고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즉각적 대규모 대응보다는 전략적 선택을 모색하는 분위기.
요약
- 월가는 중동 리스크 현실화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유가 급등, 주가 하락을 전망하며, 이란의 보복과 해상 운송 차질에 촉각을 곤두세움.
- 미국, 유럽, 이란 모두 공식 발표와 실제 피해 규모, 향후 대응 전략에서 온도차를 보임. 유럽은 신중한 외교적 접근을, 이란은 피해 축소와 전략적 대응을 강조.
- 시장은 당분간 변동성 확대와 리스크 프리미엄 상승이 불가피할 전망.
언론 및 트럼프 밢를 기반으로 미국의 이란 폭격 내용을 정리해줘
미국 이란 폭격 개요
- 2025년 6월 21일(현지시각), 미국은 이란의 핵심 핵시설 3곳(포르도, 나탄즈, 이스파한)을 전격적으로 폭격함.
-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와 백악관 대국민 담화를 통해 “아주 성공적인 공격을 완료했다”고 발표했으며, “주요 목표 지점인 포르도에 전체 탑재량을 투하했다”고 강조함.
- 공격에는 미군 B-2 스텔스 폭격기가 동원되었고, 특히 포르도 시설에는 최신형 벙커버스터 GBU-57 12발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짐. 이 폭탄은 지하 수백 미터 깊이의 시설도 파괴할 수 있는 초대형 무기임.
- 트럼프는 “모든 항공기가 안전하게 귀환했다”며 “이제 평화의 시기가 왔다”고 언급했으나, “이란이 평화를 구축하지 않으면 향후 공격은 훨씬 강력하고 쉬울 것”이라고 경고함.
- 이번 폭격은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미국이 이란 본토의 핵시설을 직접 타격한 첫 사례로, 사실상 전쟁 행위로 간주되고 있음.
- 이란은 즉각 보복을 예고했고, 중동 전역의 군사적 긴장이 급격히 고조된 상황임.
요약
- 트럼프 대통령 주도, B-2 폭격기와 벙커버스터 동원, 이란 핵시설 3곳 동시 타격
- 포르도에 집중적 폭격, “성공적 작전” 자평 및 추가 공격 경고
- 이란은 보복 예고, 중동 긴장 고조, 사실상 전면전 위험 고조